트럼프 反이민 기조에 반기?...젠슨 황 "AI 경쟁 승리 위해선 中인재 받아들여야"

  • "美, '오고 싶은 나라'로 남아야"

사진 AFP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 AFP·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이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중국에 따라잡히지 않으려면 중국 인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강경 이민정책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를 완화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로이터통신·니혼게이자이(닛케이)아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황 CEO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AI 경쟁에서) 중국에 뒤처질 가능성이 있느냐' 질문에 이처럼 답했다.

황 CEO는 "그 대답은 분명히 '예'이다"라며 "전 세계 AI 연구자의 50%가 중국인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특히 기술 산업은 과학자·연구자 등 사람으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AI 주도권을 잡기 위해선 중국의 인재풀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어 그는 "미국이 저와 같은 이민자들이 교육받고 경력을 쌓고 삶을 꾸리기 위해 오고 싶어하는 나라로 남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른바 '아메리칸드림'을 미국의 AI 경쟁력 강화의 중요한 요소로 꼽은 것이다. 황 CEO는 대만 태생으로 9살 때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다.

그는 그러면서 "세계 AI 연구자의 절반을 미국이 잃게 만드는 정책은 장기적으로 유익하지 않고 오히려 우리에게 해롭다"면서 "미국이 전 세계 개발자를 이끌고 주도하는 결과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CEO의 이와 같은 발언에 대해 로이터는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부의 반(反)이민 정책이 미국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바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빅테크가 주로 중국 등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해 활용해온 'H-1B' 비자의 수수료를 10만 달러(약 1억4000만원)로 높이는 등 규제를 강화했다. 이후 황 CEO는 모든 직원들에게 비자 수수료 10만 달러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