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직무 긍정평가 56%...민주 43%·국민의힘 25%

  • 한국갤럽 여론조사...직전 조사보다 2%p 상승

  • 10·15 대책 영향 제한적...'부동산 규제' 부정평가 요인 부상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56%로 지난주보다 2%포인트(p) 상승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은 43%로 40%대를 회복했고, 국민의힘은 25%로 세 달째 20% 중반에 머무르고 있다. 정부의 10·15 대책 발표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지만,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불만이 지지율에 직접적인 타격은 주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24일 발표된 한국갤럽이 지난 21~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관한 의견을 물은 여론조사 결과, '잘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56%고 '잘못 수행하고 있다'는 응답은 33%로 나타났다. 11%는 의견을 유보했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19%)', '외교(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소통(7%)' 순이다. 반면 부정 평가 이유는 '외교(15%)',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11%)',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9%)', '경제·민생(8%)' 등이 꼽혔다.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 43%, 국민의힘 25%, 조국혁신당 3%, 개혁신당 2% 순이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5%로 집계됐다. 한국갤럽은 "10·15 대책이 현 시점 대통령과 여당에 대한 인식을 뒤바꿀 정도로 강력하지 않았다"며 "(대책 관련 질문에도) 적절·부적절 시각이 엇비슷하다"고 분석했다. 

한국갤럽 별도 조사에서 10·15 대책이 '적절하다'는 37%, '적절하지 않다'는 44%였다. 진보층의 57%는 긍정했지만, 보수층의 67%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또 유주택자의 41%가 긍정했으나, 무주택자는 31%만이 긍정했다. 다만 한국갤럽은 "거주지별 차이보다 정치적 태도별 (대책에 대한) 시각 차가 더 큰 편"이라고 해석했다. 

부동산 세제에 대해선 '보유세 현 수준 유지'가 33%로 가장 많았다. '강화해야 한다(26%)', '낮춰야 한다(27%)'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거래세(취득세·양도세) 완화는 찬성 54%, 반대 27%로 완화 의견이 우세했다.

한국갤럽은 "대통령 직무평가는 견조하게 유지됐으나, 부동산 정책과 대출 규제에 대한 불만이 부정 평가 요인으로 꾸준히 상위권에 오르고 있다"며 "정치 성향에 따라 정책 평가가 극명히 엇갈리는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로 추출해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2.3%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홈페이지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