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는) AI 시대의 경제질서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협력 패러다임을 제시한 의미 있는 회의였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제32차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재무장관회의 및 구조개혁장관회의 합동 기자회견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회의의 주요 성과로 ‘인천플랜’ 채택을 꼽으며, “회원국 간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 공조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의미 있는 회의였다”고 평가했다.
이번 회의는 한국이 2005년 이후 20년 만에 재무장관회의 의장국을 맡으며 APEC 역사상 처음으로 재무와 구조개혁 장관회의를 연계해 개최됐다. 미국·중국·일본 등 21개 회원국과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주요 국제기구도 참여했다.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서는 세계 및 역내 경제전망, 디지털금융, 혁신, 재정정책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그 결과 향후 5년간 APEC 재무장관회의의 논의 방향을 제시할 중장기 로드맵인 인천플랜’이 채택됐다. 인천플랜은 △혁신 △금융 △재정정책 △접근성과 기회 등 4대 주제를 담고 있다. 특히 한국이 제안한 AI 대전환과 혁신 생태계 조성, 포용적 경제기회 제공이 재무트랙에서 처음으로 주요 의제로 채택됐다.
이어 구조개혁장관회의에서는 AI와 디지털 혁신, 인구구조 변화 등 복합적 전환기에 대응하기 위한 역내 구조개혁 방향이 논의됐다. 회의 결과, ‘시장 중심의 공정 경쟁’, ‘기업환경 개선’, ‘혁신과 디지털화 촉진’, ‘경제적 잠재력 실현’ 등 4개 핵심 방향에 합의했으며, 이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과 두 개의 부속서가 채택됐다. 또 ‘제4차 기업환경개선 실행계획’을 통해 향후 10년간 시장진입, 금융서비스, 사업입지, 경쟁정책, 분쟁해결 등 5대 분야에서 20% 개선을 달성하기로 했다.
구 부총리는 “이번 회의는 한국이 의장국으로서 주도적으로 의제를 설정하고, AI 시대의 경제협력 모델을 선도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21개 회원국이 만장일치로 합의한 만큼, 이번 논의의 흐름이 다음달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의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AI 협력을 주제로 한 디지털 이코노미 포럼, 한국의 정책경험을 공유한 KSP 성과공유 컨퍼런스, 기업 전시회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열리며 APEC 회원국 간 교류와 협력이 한층 강화됐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