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실장은 이날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한·미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 DC 출국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이 원하는 최종안이 아닌 우리 국익에 최선이 되는 협상안을 만들 것"이라며 "지난 7월 31일 양국이 타결한 (관세 협상)안을 실행하기 위한 MOU는 전체에 대해 양국이 합의돼야 성과물로 마무리될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전에 기존 합의된 부분을 문서화하는 방안에 대해 김 실장은 "특정 시점 때문에 중요한 부분을 남기고 부분 합의만 하는 것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지난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큰 성과가 있었지만 대외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며 "통상 이슈의 이행에 관한 사항들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다른 분야까지 보류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다만 "협상 상대방이 있고 시시때때로 상황이 바뀌는 만큼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김정관 장관은 이번 방미 협상 대상에 대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을 만날 것"이라며 "마지막 1분 1초까지 국익이 관철되는 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