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11시께부터 워싱턴DC와 뉴욕, 보스턴, 애틀랜타, 플로리다, 노스캐롤라이나 등 동부 주요 도시의 중심가에서 대규모 시위가 시작됐다.
이어 일리노이주 시카고,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텍사스주 휴스턴,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 샌프란시스코, 오리건주 포틀랜드 등 중·서부 지역으로 확산됐다.
주최 측은 이날 시위가 미국 50개 주에서 약 2500곳의 집회로 진행됐으며 수백만 명이 참여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참가자들은 미국 내 치안 유지 목적의 군대 동원, 법원 판결 무시, 이민자 대거 추방, 대외 원조 삭감, 선거 공정성 훼손 등 트럼프 대통령의 여러 정책이나 언행이 민주주의적이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그가 독재자나 파시스트처럼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고향이지만 민주당 성향이 강한 뉴욕에서도 맨해튼 타임스스퀘어 일대에 수만 명이 모였다. 뉴욕 경찰은 인근 도로를 통제했으며 시위대는 7번 애비뉴를 따라 남쪽으로 행진하며 시위를 벌였다.
시카고에서도 수천 명이 모여 "우리 민주주의에 손대지 마라", "ICE 퇴출!" 등의 구호가 적힌 피켓을 들고 시내를 행진했다. 존 쿠삭 배우도 참여해 "당신은 우리 거리에 군대를 투입할 수 없고,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란 진압법을 발동할 만큼 혼란을 일으킬 수도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카고에 주방위군 투입을 지시한 바 있다. 이에 민주당 소속인 주지사가 법정 소송을 제기했다.
LA에서는 시청 앞에 오전부터 성조기와 멕시코 국기를 함께 들고 온 시위대가 모여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정책에 반대하는 구호를 주로 외쳤다.
시위 주최 단체 중 하나인 인디비저블(Indivisible)의 공동 창립자 리아 그린버그는 이날 언론에 "왕은 없다(No Kings)는 구호야말로 미국적인 정신"이라며 "우리는 왕을 두지 않았고 평화적으로 시위할 권리를 행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DC의 집회 주최자 리즈 카타네오는 CNN 인터뷰에서 "우리 운동은 항상 비폭력과 평화적 시위에 대한 약속을 지켜왔다"며 이번 행사를 준비하는 동안 전국의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매일 안전 브리핑과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뉴욕경찰은 이날 오후 3시 30분께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현재 대부분의 '노 킹스' 시위대는 해산됐고 모든 교통 통제가 해제됐다"며 시위 관련 체포는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 '노 킹스' 시위에 앞서 유럽의 런던과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베를린, 파리, 로마 등에서도 주요 명소나 미국대사관 앞에 사람들이 모여 연대 시위를 벌였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이번 시위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두 번째 전국적 반정부 시위로 지난 6월 첫 집회 당시에도 2000곳에서 500만 명 이상이 참여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