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12조 '어닝서프라이즈'…매출 86조원 사상 최대

  • 영업이익 2022년 2분기 이후 최대

  • HBM 출하 증가·D램 가격 상승

  • 파운드리 적자폭 축소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웃도는 12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그간 고전을 면치 못했던 반도체 사업 실적이 반등하며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4조6800억원) 대비 158.55% 증가했다.

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5분기 만에 '10조 클럽'에 재진입했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72% 늘고,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분기 매출이 80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분기 매출 최대 기록은 지난해 3분기 79조1000억원이었다.

이날 부문별 실적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6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는 전 분기(4000억원)보다 12배 이상, 전년 같은 분기(3조8600억원)에 비해서는 1조원 이상 급증한 수치다.

비메모리 분야 적자도 파운드리 가동률 상승과 함께 이번 분기 1조원가량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2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 줄었다.

시장에선 범용 D램 메모리 가격 회복이 실적 회복을 이끌었을 것이란 예상이다.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경쟁사가 HBM 생산을 확대하면서 범용 D램 공급량이 부족한 가운데 삼성전자가 가격 상승에 따른 수혜를 가장 많이 볼 것으로 전망해 왔다.

실제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제품(DDR4 8Gb 1Gx8)의 9월 평균 고정거래 가격은 6.30달러로 8월(5.7달러)보다 10.53% 올랐다. 이 제품의 고정거래 가격이 6달러를 넘어선 것은 2019년 1월(6.0달러) 이후 6년 8개월 만이다.

아울러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가 폴더블 신제품 판매 증가에 힘입어 3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사업 실적은 이번 분기를 기점으로 반등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엔비디아와는 5세대 HBM3E 공급이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6세대 HBM4 공급을 위한 인증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숀 킴 모건스탠리 연구원은 "4분기에 반도체 가격이 예상보다 더 많이 오르고 2026년까지 더 강한 업황 회복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