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0시 기준 복구된 서비스는 모바일 신분증과 우체국 인터넷 예금,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국정관리시스템, 보건의료빅데이터 시스템 등 30개 서비스다.
정부는 국민 안전과 재산,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시스템 중요도 등 등급제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고 복구작업을 진행 중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30분께 국정자원 대전 본부 건물 2∼4층 항온항습기 복구가 완료됐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께 나이스 및 K-에듀파인 로그인 등의 정상 가동됐다. 다만 서비스 안정화에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에 따르면 기상·지진 업무시스템은 정상 운영 중이다. 기상청은 카톡이나 문자를 이용해 기상정보 통보하는 등 대체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환경부는 대표 홈페이지의 민간 서비스인 KT 클라우드 입주를 추진하고 있다.
개인정보위원회는 전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침해신고센터와 118 상담센터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신고 접수용 임시 이메일 주소 안내했다. 이날까지 시스템이 복구되지 않을 경우 공공기관 개인정보 보호 수준 평가자료 제출 마감일을 이달 30일로 연장할 예정이다.
윤호중 중대본부장(행안부 장관)은 "국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투명하게 상황을 공유하고, 업무 연속성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