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도 못내는 좀비기업 14년 만에 최대…석화 1년새 10%P 급증

  • 한국은행, 금융안정상황 보고서 발표

  • 한계기업 비중 17%, 2010년 이후 최고치

  • '고위험 한계기업' 7.0%로 꾸준히 증가세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지난해 전반적인 기업 실적 개선에도 대출 이자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한계기업 비중은 14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석유화학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이 1년새 10%포인트나 급증하며 위급 신호를 보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외부감사 기업 중에서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을 밑돈 한계기업 비중은 17.1%다.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했으며, 이는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았다는 것은 한 해 동안 벌어들인 돈으로 대출 이자조차 갚지 못했다는 의미로 그만큼 부실 기업이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중소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2023년 17.4%에서 지난해 18.0%로 0.6%포인트, 대기업은 12.5%에서 13.7%로 1.2%포인트로 동반 상승했다.

3년 이상 한계 상태에 빠진 기업 비중도 2023년 36.5%에서 지난해 44.8%로 확대됐다. 반대로 1년 사이 한계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돌아온 기업 비중은 2023년 16.3%에서 지난해 12.8%로 줄었다. 그만큼 회복이 어려워졌다는 의미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실적 부진, 과다 차입 등으로 부실 가능성이 큰 고위험 한계기업 비중 역시 2023년 5.5%에서 지난해 7.0%로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39.4%)과 숙박·음식(28.8%) 등에서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비교하면 부동산(34.5→39.4%), 정보통신(17.3→20.8%), 석유화학(10.1→11.1%), 전기·전자(14.2→15.4%)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특히 글로벌 공급 과잉 이슈가 불거진 석유화학과 전기·전자 업종에서 신용 공여액 기준 한계기업 비중이 크게 늘었다.

건설 및 부동산 업종의 경우 기업수 기준으로는 한계기업 비중이 상승했으나 이들 업종의 한계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 규모는 감소했다. 지방 부동산경기 부진 지속으로 관련 여신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강화된 영향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해 전반적인 기업 실적 개선에도 한계기업 비중이 상승했다"며 "경기 요인뿐 아니라 구조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부동산 등 기존의 한계기업 과다 업종에 대해 구조조정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 등으로 한계기업에 대한 익스포저가 빠르게 늘고 있는 일부 취약 업종에 대해서는 지원책 마련과 함께 사업재편 및 제품 차별화를 통해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