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시민과 함께 포스트 APEC 미래 비전 마련

  • 제18회 시민원탁회의 개최…다각적 제안 쏟아져

  • 글로벌 시민 역량·환경·첨단산업 능력 필요성 강조

지난 23일 경주시청 알천홀에서 ‘포스트 APEC 시민과 함께 만드는 글로벌도시 경주’를 주제로 ‘제18회 경주시민원탁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경주시
지난 23일 경주시청 알천홀에서 ‘포스트 APEC, 시민과 함께 만드는 글로벌도시 경주’를 주제로 ‘제18회 경주시민원탁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경주시]
 
경북 경주시가 시민과의 소통을 통해 포스트 APEC 시대의 미래 비전 마련에 나섰다.
 
경주시는 지난 23일 청사 내 알천홀에서 ‘포스트 APEC, 시민과 함께 만드는 글로벌도시 경주’를 주제로 ‘제18회 경주시민원탁회의’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2019년부터 이어온 시민원탁회의는 시민 의견을 직접 정책에 반영하는 경주의 대표적 소통 창구로 이번 회의는 18번째다.
 
이날 회의에는 시민 120여 명이 참석했으며, 오기현 경주문화재단 대표이사의 발제를 시작으로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시민들은 APEC 이후 경주의 미래 상으로 문화유산을 활용한 글로벌 관광도시를 첫손에 꼽았다. 폐철도의 관광 자원화, 형산강 야경 개발, 양동마을 초가집 체험과 화랑도 정신 수련 등이 대표적 제안으로 나왔다.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세계인이 찾는 콘텐츠를 만들자는 취지다.
 
이날 회의에서 스마트 교통 체계와 친환경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 조성도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교통 체증을 줄이고, 디지털 기술을 통해 생활 편의를 높이자는 의견이다.
 
이어 APEC 인프라를 활용해 경주를 국제 회의와 전시 산업의 거점 도시로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미래 상을 실현하기 위한 시민 역량으로는 글로벌 시민 의식과 외국어 소통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외국인과 원활히 교류할 수 있도록 평생 교육 기반의 외국어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 사회와 보조를 맞추기 위한 윤리 의식 함양 필요성도 강조됐다.
 
환경·지속 가능 분야 역량 역시 빠지지 않았다. 탄소중립 전략을 추진하고, AI 등 첨단산업 변화에 대응할 기술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는 시민적 자질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뒤를 이었다.
 
경주시는 이번 회의에서 도출된 의견을 정책 수립 과정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2025년 APEC 정상 회의를 계기로 경주가 세계적인 도시로 도약하려면 시민의 지혜와 참여가 필수적”이라며 “원탁회의에서 나온 제안들을 시정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