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LH 직접시행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수도권에 7만5000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도급형 민간참여형’ 방식을 도입해 LH 직접시행을 추진한다. LH가 택지를 제공하고 민간 건설사가 자금 조달 및 설계·시공 등을 전담하는 방식이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대형 건설사 대비 브랜드 파워가 상대적으로 약한 중견건설사들에게는 이번 대책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간 참여 사업은 중견 건설사가 그동안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사업인 만큼 경쟁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민간 참여 사업은 수익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나 공공이 주도하는 만큼 사업 추진에 따른 리스크가 낮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힌다. 이에 금호건설과 동부건설, 우미건설 등이 올해 들어 민참 사업에서 여러 수주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번 정책의 취지는 긍정적이지만, 업계 전반의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여전하다. 단순 도급만 맡게 되면 손실에 대한 위험은 적지만 그만큼 수익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공 공사 특성상 민간 대비 공사비가 낮게 책정된다는 점도 부담이다.
실제 주요 중견 건설사들의 매출을 보면 ‘자체 분양 수익’이 도급 공사 수익보다 비중이 높다. 한국신용평가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호반건설의 자체 분양수익은 1조1476억원으로, 도급 공사수익 9108억원을 웃돌았다. 매출이익률도 분양은 23.6%였지만 공사는 3.7%였다.
공공주택 사업에서도 중견 건설사와 대형 건설사 간의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단순 입찰로 경쟁한다면 중견 건설사가 대형 건설사들을 이기기 쉽지 않은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중견·중소 건설사가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주택건설협회는 지난 8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형 건설사 위주 사업 추진에 우려를 표한다”며 “중견·중소 건설사도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고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美 IAU 교수)은 “공공 공사의 경우 사업 특성상 중견·중소 건설사가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다"며 "건설사들의 자구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에서도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배제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