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감원장, "피보탈 모먼트 지나는 중…연구기관에 다양한 제언 당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사진금융감독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사진=금융감독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23일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국내 7개 주요 연구기관장과 간담회를 열고, 한국 금융의 당면과제와 장기적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원장은 “저성장 고착화 시대에 금융이 ‘진짜 성장’을 이끄는 경제 혈맥 역할을 해야 한다”며 “기업의 창업·성장·사업재편 단계에 맞춘 맞춤형 자금 공급 등 생산적 금융 강화”를 당부했다. 또한 “고령화가 심화되는 사회에서 금융권이 은퇴자금, 연금, 신탁상품 등 고령층 자산을 유동화해 소비·투자·복지와 연결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지금의 글로벌 경제는 그간 경험하지 못한 예측 불가능성의 시대로 진입하는 피보탈 모먼트를 지나고 있다”며 “연구기관의 장기적 안목과 제언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원, 보험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 삼성글로벌리서치, KB경영연구소, 우리금융연구소 관계자가 참석했다.
 
연구기관장들도 금융의 적극적 역할을 제언했다. 이항용 금융연구원장은 부동산 중심 금융의 한계를 지적하며 인구감소와 기후변화 대응 필요성을 언급했고, 김세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혁신기업 지원과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을 제안했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장기투자시장 조성과 규제 재검토를, 송원근 현대경제연구원장은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활성화와 실버산업 금융 지원을, 김원준 삼성글로벌리서치 소장은 신탁·연금제도 활용을 통한 노후 빈곤 해소 방안을 각각 제시했다. 박정훈 우리금융연구소 대표와 정신동 KB경영연구소 소장 역시 금융자원의 생산적 활용과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