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스타트업 에스유엠(SUM)과 '자율주행 AI 기반 서비스 협력'

  • 오토노머스에이투지에 이은 두번째 자율주행 협약

  • 교통 소외지역 주민 위한 DRT 자율주행 차량 모델 구축

카카오모빌리티 - 에스유엠 CI 사진카카오모빌
카카오모빌리티 - 에스유엠 CI [사진=카카오모빌]

카카오모빌리티가 스타트업 에스유엠(SUM)과 교통 소외지역 주민들을 위한 수요응답형(DRT) 자율주행차량 서비스 모델을 구축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에스유엠과 ‘자율주행 AI 기반 서비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에 이어 국내 자율주행 기업과 맺은 두 번째 협약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통합교통서비스(MaaS) 플랫폼 카카오 T를 통해 축적한 플랫폼 운영 노하우 및 관제, 안전관리 연구개발(R&D) 역량을 제공하고 에스유엠은 자율주행 대중교통 차량 시스템 기술을 제공한다. 

국내 자율주행 서비스 상용화 시대를 대비하고, 미래모빌리티에 대한 국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체결됐다.

양사는 이를 위해 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 증진을 위한 자율주행 서비스 모델을 공동으로 기획하고 사업성 분석 및 정부 지원 사업 참여 등 사업기회 발굴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서 오토노머스에이투지와도 업무협약을 체결해 자율주행 원격지원 및 안전관리를 위한 공동 R&D, 국내 자율주행 사업기회 공동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여러 자율주행 기업들과 각 기업의 특색에 맞는 수요처를 발굴하고, 국내 생태계의 자율주행 상용화 시대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역량 및 기술력과 에스유엠의 자율주행 기술력이 만나 국내 자율주행 생태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내 자율주행 기업들과 다각도의 협업을 통해,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국내 생태계 역량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영진 에스유엠 대표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카카오 T 플랫폼과의 협력은 에스유엠의 자율주행 기술이 더 넓은 시장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국내 자율주행 산업의 발전을 이끌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하는 성공적인 상용화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