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방미를 마치고 귀국했다.
여 본부장은 19일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해 취재진에게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의회 주요 인사들을 만났다면서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는 부분을 최대한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반적인 협상 상황과 우리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해 협의하고 왔다"고 덧붙였다.
앞서 여 본부장은 지난 7월 한미 무역 협상 타결 이후 교착 상태에 빠진 후속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 지난 15일 미국으로 출국했다. 한국과 미국은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한국이 3500억 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하는 방식으로 협상을 타결했지만, 수익 배분 등 구체적 이행 방안에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에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한국을 향해 "협정을 수용하거나 25% 관세를 내야 한다"며 압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은 지난 16일부터 자동차 관세를 기존 27.5%에서 15%로 낮췄다. 반면 한국의 자동차는 25% 관세가 유지돼 일본 자동차와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손해를 보고 있다. 이에 여 본부장은 "저희도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최대한 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아울러 여 본부장은 최근 미 이민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 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현장에서 한국인을 대거 구금했다가 석방한 사태와 관련해 "미국 측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비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