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가 정부가 확정한 123대 국정과제와 지역공약을 연계한 대응 전략을 발표하며 제조AI, 우주항공, 방산 등 주요 현안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17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통해 “정부 국정과제에 도 현안이 대거 반영된 만큼, 예산 확보와 제도 마련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대응 전략은 전날 정부가 발표한 국정과제에 발맞춰 마련된 것으로, 도는 민선8기 4년 차 도정 운영방향과 접목해 핵심과제를 구체화했다.
가장 눈에 띄는 분야는 제조 AI 혁신이다. 정부의 ‘산업 AI 전환 촉진’ 국정과제와 맞물려 경남은 1조원 규모의 피지컬 AI 파운데이션 기술개발 사업에 집중한다. 여기에 중소기업 AI 전환 지원, ‘경남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유치 등을 통해 인재 확보와 AI 스마트공장 확산에도 나선다.
우주항공산업 육성도 핵심 과제다. ‘K-space 도전’이라는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해 경남도는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산업 클러스터 조성, 서부경남경제자유구역청 설립 등을 본격화한다.
사천공항 기능 재편도 포함돼 경남을 동북아 우주항공산업 허브로 키운다는 복안이다. 조선·방산·에너지 분야도 집중 지원된다.
경남도는 정부의 ‘K-조선업 도약’에 발맞춰 중소조선 함정 MRO(정비·수리·점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차세대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방산 분야에서는 ‘글로벌 G4 방산 집적지’ 육성을 목표로 방산부품연구원 설립, 방산 혁신클러스터 2.0 등을 추진한다. 또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도 속도를 낸다.
에너지 전환과 신재생 산업도 전략적으로 육성한다. SMR(소형모듈원자로) 혁신제조 국산화 사업을 기반으로 특별법 제정까지 추진하며, 수소 특화단지와 해상풍력 제조산업 육성으로 청정에너지 생태계도 구축한다.
이외에도 경남도는 △가덕도 신공항·진해신항과 연계한 유라시아 물류 전진기지 구축 △부전~마산 복선전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등 핵심 교통망 확충 △국립대 역량 강화를 위한 법학전문대학원·의과대학 추가 설립 △국립 청소년수련원 유치 △통합재난관리센터·남부권 산불방지센터 건립 △거제 남부관광단지와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 △공공기관 2차 이전 대응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추가 등재, 국립현대미술관 창원관 설립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명균 도 행정부지사는 “이미 구체적 실행 단계에 들어선 사업도 있지만, 아직 기획 수준에 머무른 과제들도 있다”며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신속히 실행할 수 있도록 챙기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