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다른 나라나 해외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는 것을 겁먹게 하거나, 의욕을 꺾고 싶지 않다. 우리는 그들을 환영하고, 그들의 직원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그들로부터 배울 것이다. 그렇게 머지않은 미래에 그들의 전문 영역에서 그들보다 더 잘하게 될 것이라고 기꺼이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미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됐다 석방된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미 당국은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 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17명을 포함, 475명을 체포·구금한 바 있다. 한국인 구금자 317명 중 316명은 구금 일주일여 만에 석방돼 한국으로 돌아왔지만, 1명은 잔류를 선택했다. 더욱이 구금자들 중 일부는 합법적인 비자를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미 당국의 과도한 단속에 대한 반발과 기업들의 투자 위축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기업들이 매우 복잡한 제품, 기계, 다양한 것들을 만들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가지고 미국에 들어올 때 나는 그들이 자국의 전문 인력을 일정 기간 데려와서 그들이 미국에서 점차 철수해 자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미국인들에게 매우 독특하고 복잡한 제품들을 어떻게 만드는지 훈련시켜주길 바란다"며 "우리가 이것을 하지 않는다면 칩, 반도체, 컴퓨터, 선박, 열차 등과 같이 우리가 다른 나라로부터 만드는 법을 배워야 하거나, 많은 경우 우리가 과거에 잘했지만 지금은 다시 배워야 하는 그런 많은 제품에 대한 막대한 투자는 애초에 들어오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비용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거기에 교육까지 받으려면 정당한 비자 발급에 체제비 지원은 물론이고
많은 교육비를 지불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
도둑놈 심보도 아니고 말로만 떠들면 되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