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부는 금번 사건 발생 초기부터 미측에 유감을 표명함과 동시에 미측의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미측에 지속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측과 협의 시 구금된 우리 국민 대다수의 최우선적 요구 사항인 최단 시일 내 석방 및 귀국에 중점을 두면서도, 구금된 우리 국민 불편 해소 및 고통 경감을 위한 미측 조치를 적극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에 따르면 그 결과 미측은 제한적인 외부와의 통화 허용, 구금시설 상주 의료진의 건강 점검 및 의료 기록 작성, 일부 의약품 제공 등 우리 측 요청을 일부 수용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구금자들이 속한 기업체들과 함께 국민의 인권이나 여타 권익에 대한 부당한 침해 여부를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구금일지에는 또 한국 총영사관 측이 구금자들에게 “여기서 사인하라는 것에 무조건 사인하라”면서 미측과 분쟁이 생기면 최소 4개월은 구금 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고 안내했다는 내용도 있었다.
이에 대해 다른 당국자는 이미 자발적 출국 방안으로 협의가 진행 중이었기에 그렇게 안내한 것으로 보인다며 구금자들이 어떤 서류에 서명했든 미국 체류의 불법성을 인정한 바는 없다고 할 수 있고 국민에겐 어떠한 불이익도 없이 협상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