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 있는 의회 청사 주변에서 수만 명이 참가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시위대는 지난주 정부가 유튜브·페이스북·인스타그램·엑스(X·옛 트위터) 등 SNS를 무더기로 차단한 것에 대해 항의했다.
이들은 네팔 국기를 흔들며 "소셜미디어가 아닌 부패를 척결하라"는 구호를 외치고 정부 조치 철회를 촉구했다.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 고무탄을 쏘며 진압을 시도했다. 카트만두 일대에는 통행금지령이 내려지고 군 병력도 투입됐다.
사망자 중 7명과 부상자 수십 명은 카트만두 중심부의 네팔 주요 병원인 국립외상센터로 이송됐다.
이 병원의 바드리 리사 박사는 "많은 사람이 중태이며 머리와 가슴에 총을 맞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 경찰은 동부 이타하리에서도 시위에 따른 폭력 충돌로 2명이 숨졌다.
카트만두의 시위는 이날 밤늦게 진정됐으나 네팔 남동부의 비라트나가르·바라트푸르와 네팔 서부 포카라에서도 비슷한 시위가 열린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참가자 상당수는 20세, 또는 더 어린 청년이었고 일부는 교복을 입고 거리로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5일 네팔 정부는 당국에 등록하지 않은 26개 소셜미디어의 접속을 차단했다.
이날 사태와 관련해 라비나 샴다사니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대변인은 성명에서 "네팔에서 발생한 시위대의 사망·부상 사건에 큰 충격을 받았다"면서 "신속하고 투명한 조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국제앰네스티도 시위대를 향해 실탄이 사용됐다면서 사망 사건에 대해 철저하고 독립적이며 공정한 조사를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