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 정부가 중국의 통일 선전에 동원됐다는 논란에 휘말린 자국 연예인과 음악가 등 유명 인사 23명에 대한 처벌을 유보하기로 했다. 다만 향후 동일 사례가 발생하면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만 문화부는 지난달 29일, 중국의 대외 선전 활동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은 유명 인사들에 대해 징계를 내리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중국시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대만의 대륙위원회는 이 같은 조치와 함께 중국 측 대리회사에 위탁한 중국 팬을 위한 SNS 운영이 ‘양안조례’ 위반 소지가 있다고 경고하며, 같은 일이 재발할 경우 반드시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그간 대만 연예인들은 중국 팬을 상대로 운영하는 SNS 계정에서 ‘대만은 중국의 일부’라는 중국 정부의 입장을 공유해 논란이 종종 일어났다. 특히 지난 3월에는 여배우이자 첼리스트인 오양나나(欧陽娜娜), 방송인 허우페이천(候佩岑) 등 23명이 중국 국영 CCTV의 “대만은 단 한 번도 독립국가였던 적이 없다”는 게시물을 공유해 문제가 됐다. 이에 대륙위원회가 명단을 공개하며 문화부에 대응을 요청, 문화부는 당사자 소명을 진행해왔다.
문화부는 이번 발표에서 중국의 연예 매니지먼트 회사들이 점점 더 정치적 목적을 띠며 대만 연예인들의 중국 내 SNS 활동을 통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인사들은 해당 표현이 양안조례 위반이라는 사실조차 몰랐다며 해명했지만, 결과적으로 대만의 입장과 상반된 주장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비판했다.
리위안(李遠則) 문화부장은 ‘우리는 대만인’이라는 제목의 공개 서한을 통해 “대만인이 더 큰 시장을 지닌 중국에서 활동하려는 것 자체를 반대하지는 않는다”면서도 “그 과정에서 문화 활동이 의도치 않게 정치 선전에 이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대만 예술인들에게 “대만인이라는 자각을 잊지 말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