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정부가 미국의 50%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샴푸와 하이브리드 자동차, 가전제품 등 약 175개 품목의 상품·서비스세(GST)를 최소 10% 인하할 계획이라고 로이터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총리 정부가 추진하는 이번 GST 개편은 약 10년 만의 최대 규모 세제 개편이다. 앞서 모디 총리는 지난달 독립기념일(8월 15일) 연설을 통해 일용품을 더 싸게 할 것이라며 GST 개편을 시사한 바 있다.
2017년 도입된 GST는 각종 상품·서비스 품목을 4개 범주로 나눠 5%, 12%, 18%, 28%의 세금을 부과하는 구조다.
소식통들이 전한 정부의 GST 인하 방안에 따르면 탤컴 파우더(땀띠약), 치약, 샴푸의 세율은 18%에서 5%로 낮아진다. 에어컨과 TV는 세율이 28%에서 18%로 내렸다. 힌두교 최대 명절인 디왈리를 앞두고 시행되는 만큼 삼성전자, LG전자, 소니 등 글로벌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 수출품인 비료, 농기계, 트랙터와 부품, 섬유 등에도 12~18% 수준이던 세율 대신 5%가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대미 수출 감소를 보완하고 내수 진작, 농가 소득 증대, 제조업 자립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자동차 부문에서도 변화가 예상된다. 소형 휘발유 하이브리드차의 세율은 28%에서 18%로 낮아지고 엔진 350cc 이하의 이륜차 세율도 인하된다. 로이터는 이러한 세율 인하는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인 인도에서 소형차 판매를 다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반면 전장 4m 이상 대형차는 세율이 28%에서 40%로 높아진다. 다만 추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별도 부과금을 조정해 총 세율은 약 50% 수준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이번 GST 개편안은 3~4일 열리는 GST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위원회는 니르말라 시타라만 연방 재무장관을 의장으로, 각 주(州) 대표들이 참여한다. 인도 재무부는 구체적 입장 표명을 내놓지 않았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8월 초 인도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원하고 있다는 이유로 25% 관세를 추가해 지난달 27일부터는 총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