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김정은, 시진핑·푸틴과 나란히 설 것…북중·북러 회담 전망"

  • "김정은, 2일 오후 베이징 도착…푸틴과 동급 의전 받을 것"

  • "이번 방중을 한반도 정세 주도 '최적 카드'로 판단한 듯"

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참석하기 위해 지난 1일 전용열차로 출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1일 전용열차로 출발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일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일 중국 전승절(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반파시스트전쟁 승리)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천안문에 서서 '삼각 연대'를 재현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김 위원장의 방중 계기로 북·중 정상회담 개최는 물론, 북·러 정상 간 만남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2일 국정원에 따르면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김 위원장 방중 동향 등에 관해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이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1일 전용열차 편으로 평양에서 출발해 오늘 새벽 국경을 통과했고, 오늘 오후 늦게 중국 베이징에 도착해 방중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방중에는 최선희 외무상,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장, 현송월 부부장 등이 수행하고 있고 리설주 여사와 김여정 당 부부장이 동행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푸틴 대통령과 동급 수준의 경호와 의전 등 각별한 예우를 받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이번 방중을 한반도 정세를 주도할 '최적의 카드'로 판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북·중 관계 복원을 통한 대외 운신 폭을 확대하고, 중국의 경제적 지원을 견인해 체제 활로를 모색하려는 것"이라면서, "러시아 편중 외교를 탈피하고, 대북·북미 대화 염두를 두고 중국 지지 확보 및 미국 태도 변화 유인을 고려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 김 위원장 다자외교 데뷔전으로 "북·중·러 연대를 과시하기 위한 파격 행보"라며 "당장 실질적인 북·중·러 3자 협력이 이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했다. 아울러 국정원은 북한이 전향적인 새 국가발전 노선을 제시하거나 러시아로부터 반대급부 수확에 나서며 방러 카드도 저울질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과의 대화는 미 측 태도를 주시하며 접촉 기회를 모색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봤다.

이밖에 국정원은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을 3차 파병할 계획이고, 전투 공병 1000명이 러시아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한다"며 "기존 파병군은 후방에서 예비전력으로 주둔 중이고, 현지 지도부 교체 추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