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팬 룸] "일본 옷차림·일본어 금지"…中전승절 앞두고 日대사관 당부

2015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 사진AP·연합뉴스
2015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 [사진=AP·연합뉴스]
중국의 전승절(항일전쟁 승리 기념일·9월 3일)을 앞두고 주중 일본대사관이 현지 체류 일본인들에게 안전 유의 지침을 내렸다. 매년 전승절 전후로 반일 감정이 격화되는 만큼, 일본어 사용과 일본인으로 추정될 수 있는 행위를 가급적 자제하라는 경고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주중 일본대사관은 지난 31일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게재해 “9월 3일은 이른바 ‘항일전쟁 승리 기념일’로, 중국인의 반일 감정이 특히 높아지기 쉬운 날”이라고 밝혔다. 이어 “외출 시 주변 상황에 주의를 기울이고, 수상한 사람이 접근할 경우 각별히 경계해야 한다”며 “특히 어린이를 동반한 경우 충분한 안전에 유의해 달라”고 권고했다.

대사관은 또 “현지 관습을 존중하고 외부에서 큰소리로 일본어를 사용하는 행위를 자제해 달라”며 “일본인임을 짐작할 수 있는 복장이나 물품을 휴대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많은 사람이 모이는 광장, 일본인이 자주 찾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장소 방문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침을 제시했다.
 
중국 베이징의 항일전쟁 80주년 기념물 사진AP·연합뉴스
중국 베이징의 항일전쟁 80주년 기념물 [사진=AP·연합뉴스]

한편, 중국은 1945년 일본의 항복일을 기준으로 매년 9월 3일을 전승절로 지정해왔다. 2014년부터는 법정 기념일로 격상해 전국적으로 기념행사를 열고, 대규모 열병식을 통해 항일전쟁 승리를 ‘중화민족의 위대한 승리’로 강조한다. 하지만 전승절은 단순한 추모일을 넘어 반일 정서를 자극하는 계기가 되곤 한다. 중국 언론과 정부가 일본의 침략상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면서 대중 사이에 현대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혐오 정서가 강화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승절 전후 온라인에서는 일본 제품 불매운동 촉구나 혐오 표현이 급증한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범죄로 이어진 사례도 있다. 지난달 장쑤성 쑤저우에서는 아이와 함께 걷던 일본인 여성이 괴한에게 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9월에는 광둥성 선전시 일본인 학교에 다니던 초등학생이 등교 중 중국인 남성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숨지는 사건이 일어나 충격을 줬다.

이처럼 전승절은 전쟁 희생자를 기리고 평화의 가치를 되새긴다는 명분을 안고 있지만, 동시에 반일 감정이 집중적으로 분출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일본 대사관이 이번에 이례적으로 “일본어 사용을 자제하라”는 권고까지 내린 것도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