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집값에 한은 기준금리 2연속 동결…성장률은 0.9% 전망

  •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8월 통화정책방향회의 개최

  • 불안한 집값에 9월 미 FOMC 지나 10월 인하할 듯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8일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다시 한번 묶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0.9%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여전히 1%에 못 미치는 저성장이라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이 절실한 상황이지만, 서울 집값이 여전히 상승세인 만큼  지난달에 이어 두 번 연속 동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한은 금통위는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지난해 10월부터 현재까지 모두 1.00%를 인하한 금통위는 7월, 8월 두 차례는 쉬어가기로 했다.

'6·27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 증가세가 주춤하지만, 서울 집값 상승세가 여전히 강한 만큼 서둘러 금리를 낮췄다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을 부추길 위험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1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출석해 "과열 양상을 보였던 수도권 주택시장과 가계부채 증가세가 '6·27 대책' 이후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지만 서울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높은 주택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어 추세적 안정 여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경계했다.

1400원 가까이 오른 원·달러 환율로 인해 미국과 금리 격차 확대도 부담이다. 이번에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면 이미 역대 최대 2.00%포인트인 금리차는 2.25%포인트까지 벌어지고 외국인 자금 유출과 원·달러 환율 상승 위험이 커진다.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거치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확인하고 금융안정 리스크를 덜어낸 뒤 10월에 인하할 것이란 게 대부분 시장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2차례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과 지자체 예산 신속집행으로 소비 회복 조짐이 나타난 데다 미국과 관세 협상 결과가 '최악'을 피하면서 여론과 정치권의 '경기 부양용 기준금리 인하' 압박이 약해진 점도 이번 동결에 한몫했다.

한은은 이날 새로 발표하는 경제 전망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 0.8%에서 0.9%로 올렸다.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과 동일한 1.6%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