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화업계, 매출원가율 99%…'팔수록 적자' 늪

  • 원재료·전기요금 동반상승 영향

여수산단 야경 사진여수시
여수산단 야경 [사진=여수시]

중국발 공급과잉 직격탄을 맞은 석유화학업계의 상반기 매출원가율이 99%에 육박했다.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로, 수익성은 사실상 사라진 셈이다.

2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최근 구조재편 협약을 맺은 석화업체들의 반기 보고서를 개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상반기 매출원가율 평균은 98.6%로 집계됐다. 전년 평균(94.7%)보다 3.9%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이번 조사는 연합뉴스 의뢰에 따른 것으로, 협약사 10곳 가운데 DL케미칼은 반기 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아 제외됐다.

업계 평균 매출원가율은 2021년 87.6%, 2022년 92.3%, 2023년 93.8% 등으로 꾸준히 상승해왔다. 매출원가율은 매출액 대비 원가 비중으로, 99%에 육박했다는 것은 사실상 영업이익 창출이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실제로 조사 대상 업체 모두 상반기 적자를 냈으며, 총 적자 규모는 1조8000억원을 넘었다.

업체별로는 HD현대케미칼이 107.3%로 가장 높았고, 한화토탈에너지스 103.7%, SK지오센트릭 101.0%, 대한유화 100.5% 등이 뒤를 이었다. 2021년까지만 해도 매출원가율이 90%를 넘는 곳은 4곳에 불과했으나, 올해는 4곳이 100%를 넘겼다.

수익성 지표인 에틸렌 스프레드(제품과 원재료의 가격 차)가 회복되지 못한 영향이 크다. 업계는 손익분기점을 톤당 300달러로 보지만, 올해 2분기 에틸렌 스프레드는 220달러 수준에 머물렀다. 납사 가격 상승과 중국·중동의 증산으로 판매가가 떨어진 결과다. 여기에 전기요금 인상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고압A 기준 산업용 전기료는 2022년 1분기 105.5원/kWh에서 지난해 4분기 174.0원/kWh로 65% 가까이 뛰었다.

이에 따라 업계와 지자체가 위기 산단에 대한 전기요금 한시 인하를 요청했으나, 정부 구조재편안에는 이런 지원이 포함되지 않았다. 업계는 적자 누적 속에 연말까지 생산량의 4분의1을 줄이는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한편, 세제·금융 지원 등 추가 대책이 절실하다고 호소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선자구노력 후정부지원' 방침을 밝힌 만큼 구조재편에 참여하겠지만, 한계 상황을 버티려면 세제 혜택과 금융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1
0 / 300
  • 석화업계도 어렵네요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