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대응, 수출기업 긴급 지원 '관세대응 바우처' 확대

  • 20일 관세대응 바우처 모집 확대 온라인 설명회 개최

  • 1300여 개사로 확대… 해외 거점 이전·OEM 발굴 등 지원

코트라 전경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코트라 전경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미국 관세 협상 타결 후속 조치로 관세 애로를 겪는 중소·중견기업 지원을 위한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이를 위해 8월 20일 오전 10시 온라인 설명회를 열어 사업개요, 신청 요건, 신청 방법 등을 상세히 안내한다.

산업부와 코트라는 지난 4월과 6월 대미(對美) 직·간접 수출기업과 중간재 해외 수출기업 900여 개사를 관세대응 바우처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에는 전 세계 직수출 기업과 대미 수출 준비 중인 내수기업까지 범위를 넓혀 총 1300여 개사 내외를 선정할 예정이다.

특히 2024년 기준 수출 200만 달러 이상 또는 대미 직수출 20만 달러 이상 기업 대상으로 신청 접수 후 3일 이내 선정 여부를 안내하는 '패스트 트랙'을 마련한다. 패스트 트랙에서 탈락해도 일반 트랙을 통해 재평가 받을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한편, 현재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에 참여 중인 기업들은 해외전시회, 국제 운송, 해외 인증 등 기존 인기 메뉴 외에도 코트라 해외무역관이 선별한 전문가를 활용한 '관세대응 패키지'를 이용하고 있다.

일례로 자동차부품 제조기업 A사는 '해외 생산거점 진출지원 조사·컨설팅'을 통해 미국 자동차공장 설립 기초조사를 진행 중이며, 코트라는 미국 대형 부동산 전문기업과 협업해 이 조사를 지원 중이다. 소비재 기업 B사는 공급망 다변화와 신규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해외 생산파트너(OEM) 발굴 조사' 서비스를 활용해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서 새로운 파트너를 찾고 있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우리 기업들은 새로운 기회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이 대체시장 발굴과 생산거점 이전 등 수출 해법 마련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