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수아즈 톰 소련·러시아 전문가는 14일(현지시간) 일간 르몽드 기고로 러시아의 전략, 미국과 거래 시나리오 등을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톰은 “러시아의 영토 확장이 역사적으로 외국 세력의 도움으로 이뤄졌다”며 “1772년 폴란드 분할, 1920∼1921년 캅카스 재정복, 1939년 발트 3국과 갈리치아 병합 등의 사례”를 거론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두 번째 영토 확장 전략으로 '살라미 전술'이다”며 "러시아는 피해자를 조각으로 나눠 차지한다.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차지한 후 지금은 돈바스 지역을 노리고 있다. 첫 번째 조각을 차지하면 두 번째, 세 번째로 넘어간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크렘린궁의 요구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면 우크라이나인의 사기가 저하된다"며 연관 작용으로 우크라이나 내 친러시아 정권이 들어설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톰은 러시아가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유럽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가스의 관리와 재판매권을 미국 기업에 넘기겠다는 '딜'을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지만 여기에도 함정이 있다”며 "서방이 투자하고 생산을 시작하자마자, 러시아 정부는 외국 파트너를 약탈한다"고 지적했다.
톰은 다양한 시나리오에 맞서 유럽이 "냉정함을 유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유럽은 우크라이나에 유럽군 파견을 강하게 주장해야 한다"며 "러시아에 맞서 우크라이나를 홀로 내버려 두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유럽은 자신이 가진 카드를 인식해야 한다. 유럽인들은 모르고 있지만 그들은 유리한 위치에 있다"며 "유럽인들은 러시아가 점령지에서 철수하기 전까진 러시아와 거래가 재개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