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B 韓성장률 전망 줄상향…'비관적' JP모건·씨티도↑

  • 해외 주요 IB 8곳 성장률 전망치 평균 1.0%

  • JP모건 0.2%p·골드만삭스 0.1%p·씨티 0.3%p↑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해외 주요 투자은행(IB)들이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눈높이를 줄줄이 높였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재정 확대로 내수 경기가 살아날 조짐이 보이는 데다 미국발(發) 관세 불확실성이 걷히면서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주요 IB가 전망한 우리나라 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중간값은 1%로 집계됐다. 각 IB별로 살펴보면 △골드만삭스 1.2% △노무라 1.0% △버클리 1.1% △뱅크오브아메리카 1.0% △씨티 0.9% △UBS 1.2% △JP모건 0.7% △HSBC 0.7%를 기록했다.

특히 한국 경제를 가장 비관적으로 봤던 JP모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한 달새 0.2%포인트나 상향한 점이 고무적이다. JP모건은 6월 하순까지만 해도 국제금융센터가 집계하는 해외 주요 IB 8곳 중 전망치가 가장 낮았지만 지난 6월 말 0.5%에서 0.6%로 올린 데 이어 지난달 말 0.7%로 또 한번 올려잡았다.

박석길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행의 2분기 GDP 발표 이후 보고서에서 "2분기 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을 소폭 웃돌았는데 이는 수출 호조와 제조업 성장 덕분"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3분기에는 이로 인한 반작용이 나타나겠지만, 재정 부양책 효과가 완충 작용을 할 것"이라며 "하반기 연율 평균 1.8% 성장 전망을 유지하면서 2분기 실적을 반영해 연간 성장률을 0.7%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JP모건과 마찬가지로 한국 경제를 비관적 시각으로 바라봤던 씨티도 지난 7월 말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 발표 이후 기존 전망치인 0.6%를 0.9%로 0.3%포인트나 상향 조정했다. 2분기 수출 호조 및 3분기 재정 부양책을 이유로 들었다.

골드만삭스도 한·미 무역 협상 결과를 반영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1%포인트씩 높인 1.2%, 2.2%로 제시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6월에도 미국 관세 리스크 완화, 미국과 중국의 성장 전망 상향, 한국의 재정 부양 가능성 등을 반영해 성장률 전망치를 0.7%에서 1.1%로 0.4%포인트나 올렸다.

골드만삭스는 "이번 무역 협상 발표는 반도체 등 특정 품목 관세 관련 불확실성을 줄인다"며 "한국이 다른 국가와 비교해 불리한 조건도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