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 SK텔레콤 손잡고 최고 수준 '독자 AI 모델' 도전

사진크래프톤
[사진=크래프톤]
크래프톤은 자사가 참여한 SK 텔레콤 컨소시엄(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기초) 모델’ 프로젝트 정예팀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SK텔레콤 컨소시엄은 반도체, 모델, 데이터, 서비스로 이어지는 독자 기술 기반 ‘풀스택(통합 운영‧관리) AI’를 구현하고, 개발된 AI 모델을 국내 생태계에 오픈소스(개방형)로 공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포스트-트랜스포머(차세대) AI 모델로 한류(K)-AI 서비스를 실현해, 국민 AI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AI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크래프톤은 이번 컨소시엄에서 차세대 멀티모달(텍스트‧이미지‧음성‧영상 등 동시 처리) 모델의 아키텍쳐(시스템 설계)와 학습 알고리즘 연구를 주도한다. 이를 기반으로 게임 등 도메인 특화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AI NPC(비플레이어 캐릭터)‧스토리 엔진 등 게임 콘텐츠에 활용 가능한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개발도 함께 추진한다.
 
크래프톤은 실제 게임 진행 자료를 기반으로 시각물, 문서, 언어, 행동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멀티 모달 데이터셋 수집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원천 기술 확보와 산업 적용 측면에서 강력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 측은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크래프톤은 이외에도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CPC(협동 플레이가 가능한 AI 캐릭터)를 비롯해, AI 에이전트의 게임 플레이 능력 평가 지표인 ‘오락’을 공개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올해에만 세계 최고 권위의 AI 학회에 15편의 논문을 게재하며 연구 활동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 본부장은 “멀티모달과 게임 특화 AI 분야에서 크래프톤이 보유한 고유 기술력은 컨소시엄에서도 중요한 차별화 요소가 될 것”이라며 “SK텔레콤 컨소시엄과 함께 국내 AI 생태계 발전과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적극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