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동로보틱스는 대동그룹의 AI 로봇 전문기업으로 정부 인증을 획득한 자율주행 운반 로봇을 출시하며, 국내 스마트 농업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고 28일 밝혔다.
이 자율주행 운반 로봇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하 '농진원')으로부터 ‘자율주행형 농업용 동력운반차’ 인증을 국내 최초로 획득한 모델이다. 지난 2월 선보인 유선(와이어 추종형) 운반 로봇에 3D 카메라, 장애물 인식용 라이다, 듀얼 RTK 안테나를 추가 장착해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정밀하게 자율주행 할 수 있도록 고도화했다.
또한 무선 리모컨을 통해 이동 및 적재함(리프트, 덤프) 조작이 가능하게 해 작업 편의성을 높였으며, 3면 개방형 덱을 적용해 적재물 적재 및 하차 작업의 효율성도 강화했다.
이 로봇은 전용 앱 ‘대동 로봇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위치 확인은 물론 출발지 변경, 속도 조절, 경로 및 정차지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원격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자율주행 기능 설정 및 조작은 앱과 본체의 전용 컨트롤 스위치 두 가지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 공용 제어 기능으로 하나의 로봇을 여러 사용자가 각각 등록해 활용할 수도 있다.
앱을 통해 최대 10개의 자율주행 경로를 등록할 수 있으며, 최대 11곳의 정차지를 지정해 작업 상황에 맞춘 자율주행 운반을 설정할 수 있다. 자율주행 중에도 목적지 변경, 정차지 이동, 복귀 등의 기능이 가능해 작업자는 정해진 지점에서 화물의 상·하차만 수행하면 되는 구조다. 이를 통해 농작업의 노동 강도와 반복 작업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 제품은 전국 150여 개 대동 대리점을 통해 구매할 수 있으며, 접근성 강화를 위해 현재 임대 서비스도 시범 운영 중이다. 임대 문의는 대동로보틱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대동로보틱스는 자율주행 운반 로봇이 농업 뿐 아니라 건설 현장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활용 범위를 확대해 스마트 물류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
여준구 대동로보틱스 대표는 “자율주행 운반 로봇은 국내 농업 현장에 AI 로봇 기술을 본격 도입하는 스마트 농업의 출발점이며, 최근 해외 농장에서도 OPC(기술 검증)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해외 진출도 추진 중이다”며 “앞으로도 농업을 넘어 다양한 산업 분야로 AI 로봇 기반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동로보틱스는 지난 2월 농업 로봇 시장에 본격 진입한 이후 운반 로봇의 고도화를 빠르게 추진 중이다. 자율주행 기능에 이어 AI 기반 음성 인식 제어, 방제·제초 등 다양한 작업을 지원하는 다기능 로봇을 개발 중이며, 향후 현장 맞춤형 스마트 농업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제품군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