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7일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을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고강도 대출규제 발표 이후 서울의 아파트 최고가 거래량이 발표 전 대비 70% 이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보다 강력한 규제가 시행되면서 시장이 빠르게 관망세로 접어드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27 부동산 대책 발표 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전 2주(6월 13∼26일) 대비 74% 줄었다.
6·27 대책 발표 전 2주간 아파트 거래 4693건 중 최고가 거래는 1141건(24.3%)이었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시작된 집값 상승세가 마포, 용산 등 인근 지역까지 확산하면서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다.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새 정부 출범 기대감 등이 맞물리며 매수 심리가 확산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정부의 대출규제 시행으로 시장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대책 발표 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 거래량은 1312건,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급감했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대비 74% 감소했고, 최고가 거래 비중도 22.9%로 직전 2주보다 줄었다.
자치구별로 보면 대책 발표 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이후 22건으로 84% 줄었고, 마포구는 대책 발표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이전 대비 87%가량 감소했다.
강동구 역시 6월 27일 이후 최고가 거래량이 23건으로 80%, 강남구는 41건으로 63%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도 최고가 거래량이 감소했다.
직방 관계자는 "거래량만으로 시장 흐름을 단정하기에는 이르지만 서울·수도권 주택시장의 전반적 분위기는 짙은 관망세에 접어든 모습"이라며 "규제 강도가 높아진 서울 강남권이나 정비사업 중심지에 몰렸던 수요가 상대적으로 덜 규제된 지역으로 일부 분산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