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당국이 금융권 전체를 대상으로 하반기 가계대출 목표치 재점검에 들어간다. 6·27 대책에서 가계대출 공급량을 기존 계획 대비 절반으로 줄이기로 한 데 따른 조치다. 상반기 가계대출이 이미 목표치를 초과한 NH농협은행은 하반기 대출 여력에 제약이 불가피한 반면 상반기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신한·하나은행은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조만간 전 금융권에 하반기 가계대출 목표치를 다시 제출하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당초 올해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율을 예상 경상성장률(3.8%) 이내로 관리하고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율을 1~2% 수준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명목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과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급증 추세 등을 고려해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기존 대비 절반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올해 전 금융권의 연간 증가 목표치가 75조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반기별 목표치는 약 37조5000억원이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올 하반기 대출 공급량은 50% 감축한 19조원 수준이 된다. 그러나 다수 은행이 이미 연간 목표치를 넘기면서 대출 문턱이 높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농협은행이 상반기에만 6%대 가계대출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연간 목표치를 크게 넘어선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총량을 넘긴 금융사에 대해 페널티를 예고한 만큼 농협은행의 하반기 가계대출 취급 여력이 크게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은행들도 우대금리를 상향 조정하거나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축소하는 방식으로 대출 관리에 돌입했다.
반면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1%대 증가에 그치며 비교적 여유 있는 모습이다.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높아 올해 총량 자체가 줄어들면서 소극적으로 움직인 것이 하반기 여신 여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됐다. 이에 따라 두 은행은 하반기 대출 운용에 상대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게 됐다.
가계부채 관리 강화에 나선 금융당국은 월별·분기별 점검뿐 아니라 대출 쏠림이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 일일 점검도 실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실수요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외 규정을 마련하는 등 정밀한 정책 운용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면서도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목표"라며 "무리한 대출 절벽을 막기 위해 은행별 여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