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NA] 말레이시아 경제계, 올해까지 활동제한령 유지 정부에 촉구

[사진=말레이시아 보건부 페이스북]


말레이시아 정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책으로 전국에서 실시중인 활동제한령이 선포된 이후, 24일로 160일째를 맞는다. 6월 10일부터 실시된 회복 활동제한령이 이달 말로 기한을 맞이함에 따라, 경제계로부터는 동 조치의 유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말레이시아 내의 코로나 확산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관계자들도 규제를 더 이상 완화할 때가 아니며, 활동제한령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 당국도 연장에 대비하고 있다.

23일자 스타에 의하면, 말레이시아 중소기업(SME)협회 마이클 칸 회장은 신종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매일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섣부르게 규제를 완화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하면서, "최소한 연내까지는 정부가 규정하는 (혼잡한 공공장소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나 사회적 거리 확보와 같은) 표준운영절차(SOP) 준수를 국민들에게 의무화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말레이시아 소매체인점협회(MRCA)의 샤리 타이 회장은 "활동제한령이 6월 10일부터 '회복기'에 돌입해, 소매업계는 어느 정도 회복단계에 있다. 최근 들어 가맹기업들은 앞으로도 신종 코로나 대책과 관련해 정부의 개입을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제조업자연맹(FMM)의 소 티안라이 회장은 경제계가 락다운(도시봉쇄) 재도입을 견딜 여력은 없다고 강조하면서, 말레이시아 내 신종 코로나 집단감염 발생현황 등을 감안하면, 정부는 SOP준수를 국민들에게 계속 촉구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밝혔다. FMM은 회복 활동제한령이 연장되지 않을 경우, 신종 코로나 대책인 SOP준수를 가맹기업들에게 촉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국내 규제는 유지, 국경은 서서히 개방하기를
의료관계자들도 회복 활동제한령을 연장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말레이시아 공중위생의협회(PPPKAM)의 자이날 아리핀 오마르 회장은 "정부는 회복 활동제한령을 올해까지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신종 코로나 억제에 성공한 국가간에 이동을 서서히 재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말레이시아 의사회(MMA)의 가나바스카란 회장은 신종 코로나 대책 규제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수습 때까지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가나바스카란 회장은 "정부가 규제하지 않는다면, 국민들은 신종 코로나 대책인 SOP를 준수하지 않을 것"이라며, 회복 활동제한령이 종료돼 규제가 완화되면 뉴노멀 시대에 국민들 생활에 정착되고 있는 사회적 거리 확보 및 손씻기 등을 많은 사람들이 더 이상 실천하지 않을 것에 대해 우려했다.

말레이시아 개업의연맹(MPCAM)의 라지 크말 마하라쟈 회장은 사회적 거리 확보 등 뉴노멀을 최소 2년은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 "회복 활동제한령의 규제를 9월 이후에도 유지해, 위반자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말레이시아 연방경찰(PDRM)의 아크릴 서니 압둘라 부장관은 회복 활동제한령 연장에 대비하고 있다면서, "국민들이 앞으로도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확보 등 SOP를 준수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