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CGV, 3분기 매출 5831억·영업이익 234억…동남아 시장 호조로 흑자 지속

사진CJ CGV
사진=CJ CGV
CJ CGV가 올해 3분기에도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CJ CGV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5831억원, 영업이익 234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CJ 4DPLEX의 글로벌 성장세와 베트남·인도네시아 시장 호조, CJ올리브네트웍스의 안정적 실적이 전사 실적을 이끌었다.

자회사 CJ 4DPLEX는 3분기 매출 340억원, 영업이익 35억원을 거뒀다. 오리지널 콘텐츠 축소로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줄었지만, 핵심 사업인 4DX·SCREENX 매출은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F1 더 무비’ 효과로 56% 늘었다.

해외 시장도 강세가 이어졌다. 베트남은 매출 671억원, 영업이익 14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2.2%, 359.4% 급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인도네시아는 매출 261억원, 영업이익 34억원으로 코로나19 이전 수준(2019년 대비 86%)까지 회복했다.

중국은 로컬 영화 흥행에 힘입어 매출 713억원, 영업이익 21억원을 기록하며 턴어라운드 흐름을 이어갔다. 반면 튀르키예는 비수기와 인플레이션 여파로 매출 299억원, 영업손실 76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사업은 매출 1962억원, 영업손실 56억원을 냈다. 정부의 영화 소비쿠폰 배포와 ‘좀비딸’, ‘F1 더 무비’, ‘귀멸의 칼날’ 흥행으로 관객 수가 늘었고, 비용 절감 효과로 2분기 대비 손실 폭을 크게 줄이며 회복세에 진입했다.

IT 계열사 CJ올리브네트웍스는 매출 2043억원, 영업이익 151억원으로, 물류·리테일 분야 시스템통합(SI) 사업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11.7% 증가했다.

CJ CGV는 4분기 ‘아바타: 불과 재’, ‘주토피아 2’, ‘위키드: 포 굿’ 등 기대작 개봉에 힘입어 기술 특별관 중심의 실적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CJ 4DPLEX는 글로벌 극장사들과 협업을 확대하고, K-팝 공연 실황 콘텐츠·헐리우드 블록버스터 공급으로 성장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동남아에서는 신규 출점과 고정비 구조 개선으로 안정적 흑자를 유지하고, 중국·튀르키예에서는 비용 효율화에 집중한다. 국내 시장에서도 대형 콘텐츠 개봉 효과를 기대하면서도 운영 효율화와 체질 개선을 지속한다.

정종민 CJ CGV 대표는 “동남아 극장사업 성장과 CJ 4DPLEX 글로벌 확산이 실적을 견인했다”며 “4분기에는 대형 흥행작 개봉이 이어지는 만큼 기술 특별관 중심의 실적 개선 속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