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영입은 새 정부 출범 이후 급변하는 정책·입법 환경과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떠오른 전력·에너지 공급망, GPU 및 데이터센터 기반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인재 영입으로, 화우는 정부·국회·산업·기술을 아우르는 통합 자문체계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윤 고문은 연세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하고 성공회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했다. 민간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하던 윤 고문은 2013년 박남춘 의원실 수석보좌관을 시작으로 공직에 입문해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청와대 국정상황실과 인사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을 거쳐 2020년 인사수석비서관실 인사비서관으로 임명됐다.
윤 고문은 재임 기간 동안 국정상황관리, 정책리스크 대응 등 국정 전반의 주요 현안에 깊이 관여했고, 전 행정부처 및 공공기관의 인사 추천 업무를 총괄하며 인사 제도 수립,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화우는 윤 고문의 합류로 GRC센터의 정부·국회 정책·입법 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리스크 관리 및 인사 분야 등에 폭넓은 자문과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화우는 또 AI 인프라와 에너지 융합 분야의 전문 경영인으로 평가받는 이수영 전 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 대표이사를 고문으로 영입했다.
이 고문은 20여년간 연료전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화 등 AI 산업의 기반 인프라 영역에서 폭넓은 경영 경험을 쌓았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켈로그 경영대학원(Northwestern University,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MBA 출신으로 글로벌 전략과 기술산업 구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외 기업의 신사업 개발·투자·M&A를 주도해왔다.
대규모 인수합병, 합작투자, 그린필드 프로젝트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민간기업은 물론 국가위원회 등에서 의장을 역임하며 국가 정책자문 영역에서도 폭넓은 역할을 수행해왔다.
현재는 ㈜LG 사외이사 겸 ESG위원회 위원장, 국가 녹색인증심의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며 기업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인프라 전략과 정부 정책 자문을 병행하고 있다.
화우는 이번 영입을 통해 AI 인프라, 에너지 전략, 정책·입법 대응, 신사업 투자·M&A 자문 등에서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화우 내 GRC센터, ESG센터, 환경규제대응센터 등과의 협업을 통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과 리스크 대응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이명수 대표변호사는 "윤지훈 고문과 이수영 고문은 각각 정책·입법 대응, 그리고 AI 인프라 및 에너지 분야에서 탁월한 전문성을 지닌 전문가"라며 "두 분의 합류로 화우는 정부 정책 변화와 산업 전환기에 고객이 필요로 하는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는 로펌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