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수소산업 전반 육성, 한일 상생협력 가능성 높아

  • 2040년 1200만t 도입 목표… 15년간 3조 엔 보조금

  • 9월 말 코트라-제트로 협의회서도 4대 핵심 협업 분야로 논의

코트라 전경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코트라 전경 [사진=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일본이 2040년까지 수소 도입 목표를 1200만t으로 확대하고 15년간 3조 엔 규모의 보조금을 투입한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25일 '일본 수소 산업 정책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하고, 지난 8월 23일 한·일 정상회담에서도 언급된 양국 수소 생태계 협력 유망 분야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일본 정부의 수소 산업 육성 정책 동향을 짚고, 생산·저장·이용 등 생태계 각 분야의 시장 규모와 대표 기업, 일본의 수소 기술력 수준을 정리했다. 아울러 일본 수소 생태계의 구조적 강·약점과 기회·위협 요인도 함께 분석했다.

일본은 수소 산업 육성에서도 정부 주도의 정책 드라이브가 두드러진다. 2023년 '수소 기본전략'에서 기존 2030년 300만t, 2050년 2000만t 목표에 더해 2040년 1200만t 도입 계획을 추가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3조 엔 규모 보조금을 15년간 지원하고, 수소·암모니아 수입·저장 거점 조성에도 올해 57억 엔을 투입한다.

일본은 저장·운송·발전 분야 전반에서 수소 산업을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세계 최초 액화수소 운반선을 개발한 가와사키중공업, 고효율 수소 터빈을 상용화한 미쓰비시중공업 등이 대표 기업이다.

이 같은 기반을 바탕으로 보고서는 한·일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시했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가 양국을 2050년 최대 수소 수입국으로 전망한 만큼, 공동 R&D, 제3국 동반 진출, 인증·표준 통합 등이 유망 협력 분야다.

수소 산업은 양국 무역진흥기관 간 협력에서도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코트라와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는 오는 30일 도쿄에서 정기협의회를 열고 수소 및 이차전지, 반도체, 조선을 4대 핵심산업으로 정해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코트라는 2026년부터 일본 내 4개 무역관에 산업별 전담 기능을 부여해 수출지원, 공급망 구축, 공동 연구개발, 투자·인력 교류 등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최정락 코트라 나고야무역관장은 "일본 수소 생태계는 아직 태동 단계지만 정부 및 대기업 주도로 빠르게 성장 구조를 갖춰가고 있다"며 "본격적인 수소경제 전환에 앞서 한·일 기업 협력은 양국을 글로벌 시장의 핵심 축으로 성장시키는 상생의 발판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코트라 해외시장뉴스 웹사이트에서 열람 가능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