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17일 페이스북에서 "의혹 제기는 눈덩이처럼 불어났고 본인은 부인하고 있고 그렇다면 특검 수사로 진실을 밝히는 수밖에 없다"며 "본인 스스로 '수사에 협조하겠다'고 나서면 좋지 않을까. 떳떳하면 수사받아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12·3 비상계엄 때 빠르고 명확한 반대 목소리를 못 냈고, 서부지법 폭동 때 강력한 메시지도 못 냈던 조 대법원장. 본인 의혹엔 참 빠른 입장(을 냈다)"며 "사법부 수장으로서 자격 미달. 그냥 조희대 변호사로 사시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어 "조 대법원장의 이례적인 대선후보 선거법 파기환송과 그에 따른 대선 개입 의혹의 진상은 규명돼야 한다"며 "사법개혁의 불이 댕겨졌다. 쇠뿔도 단김에 빼자"고 덧붙였다.
박 수석대변인은 "비상계엄 때도, 서부지법 폭동 때도 무겁게만 닫혀있던 대법원장의 입이 오늘은 이렇게 가볍게 열리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국가와 법원의 존망이 달린 일에는 침묵하던 대법원장이 개인의 일에는 이렇게 쉽게 입을 여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용민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조 대법원장의 변명이 사실인지 법사위에서 철저하게 검증하겠다"며 만약 거짓이 밝혀진다면 그에 대한 책임도 강력하게 묻겠다"고 밝혔다.
앞서 조 대법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처리한 과정에 대해 정치권의 의혹이 거세지자 이례적으로 입장문을 내고 "사실 무근"이라며 정면 부인했다.
대법원은 이날 오후 5시 20분께 '최근 정치권 등의 의혹 제기에 대한 대법원장 입장'을 발표하고 "정치권 등에서 조 대법원장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과 만나 이재명 대통령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처리에 대해 논의했다는 취지의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조 대법원장은 위 형사 사건과 관련해 한 전 총리는 물론 외부의 누구와도 논의한 바가 전혀 없다"며 "거론된 나머지 사람들과도 제기되고 있는 의혹과 같은 대화 또는 만남을 가진 적이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