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금융감독원은 여신금융협회장과 15개 여전사 CEO와 간담회를 열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정보보호 투자는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업권 존립의 조건"이라며 "단기 실적에 치중해 장기 투자가 소홀해진 결과가 아닌지 뼈아픈 자성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영진이 직접 보안 대책을 챙길 것을 주문한 것이다.
이날 간담회는 최근 롯데카드에서 약 1.7GB(기가 바이트) 분량의 고객 정보가 외부로 유출된 사건 이후 처음으로 카드업권과 금감원장이 만나는 자리다. 1.7GB의 경우 50만명 이상의 이름과 전화번호, 생년월일, 주소 등의 분량에 해당한다. 이 원장은 "해킹 사고 발생 시 소비자가 즉시 카드 사용을 중지하고 재발급받을 수 있도록 앱·홈페이지·콜센터 등 접근 채널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해킹 수습으로 인해 간담회에 참석하지 못했다.
간담회에서는 보안 외에도 취약차주 지원과 건전성 관리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이 원장은 △고령층 카드포인트 활용 △자체 채무조정 △햇살론 확대 등을 서민금융 지원에 적극 나설 것을 당부했다. 또 내년 도입될 책무구조도에 맞춰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리와 충당금 적립을 선제적으로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