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육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예방·회복 중심으로 대응 전환"

  • 초등학교 전담 생활부장교사 2026년부터 전면 배치

사진박연진 기자
[사진=박연진 기자]


부산시교육청이 올해 1학기 학교폭력 실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1학기 학교폭력 신고 건수는 141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92건보다 11.2% 줄었다. 교육청은 예방 중심 정책과 관계회복 문화 확산의 효과가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14일부터 5월 13일까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온라인으로 진행했으며, 부산지역 초·중·고·특수·각종학교 633교의 학생 22만 6275명 중 20만 6412명이 참여했다. 참여율은 91.3%에 달했다.

조사 결과, 부산지역 학생들의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6%로 지난해(2.1%)보다 소폭 증가했다.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38.2%) △집단따돌림(16.2%) △신체폭력(15.5%) △사이버폭력(7.1%)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피해 응답률은 5.4%로 전국 평균보다 0.4%포인트 높았다. 반면 중학교(1.9%)와 고등학교(0.7%)는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교육청은 피해율 증가를 단순히 학교폭력의 확산으로 보지 않았다. 코로나19 장기화 이후 대인관계와 갈등 관리의 어려움, 그리고 경미한 사안까지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문화가 정착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대응 정책을 예방과 회복 중심으로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우선 2026년부터 모든 초등학교에 학교폭력 전담 생활부장교사를 배치해 전문적인 대응 체계를 마련한다. 또 학교장·생활부장 연수, 회복적 서클 프로그램, 관계회복지원단 확대 등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자율적 갈등 해결 능력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관계회복 숙려기간 시범사업을 운영해 자기 성찰과 감정 조절 능력을 기르고, 언어문화개선 프로그램, 언어폭력 예방 주간 운영 등을 통해 언어폭력 차단에도 집중한다.

사이버폭력 예방교육과 정보윤리교육도 강화해 건강한 온라인 문화를 확산시킬 방침이다.

가정과의 협력도 확대된다. 학부모 대상 맞춤형 교육과 안내 책자 배포, 학교전담경찰관(SPO)과의 협업을 통한 예방교육 등이 추진된다. 학생 주도의 또래활동을 지원하는 ‘어깨동무 운영학교’와 ‘학교폭력 ZERO! 만들기’ 사업도 이어간다.

김석준 교육감은 “이번 대책은 처벌 중심에서 예방과 회복 중심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학교폭력 없는 안전한 학교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