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미국과 전후 가자 재건안 논의…유엔총회 아수라장 되나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이 확대되면서 팔레스타인 가족들이 가자지구 남부의 칸 유니스에서 대피하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이 확대되면서 팔레스타인 가족들이 가자지구 남부의 칸 유니스에서 대피하고 있다. [사진=UPI·연합뉴스]

유엔이 전후 가자지구 재건 계획안을 미국과 논의하고 있다고 영국 가디언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계획안에는 전후 가자지구에 1년짜리 전문가 기술관료주의 정부, 국제 안정화군(stabilisation force) 설치, 하마스 무장해제, 팔레스타인인 대규모 추방 금지 방안 등이 담겨 있다.

계획안은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가디언은 덧붙였다.

이 논의는 곧 열릴 예정인 유엔총회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여부를 둘러싼 각국의 의견 충돌 속에 아수라장으로 돌변하지 않도록 방지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유엔은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두 국가 해법의 이행을 위한 고위급 국제회의'를 유엔총회 회기 중인 이달 22일 재개하기로 했다.

이 회의에서 영국, 프랑스, 캐나다, 벨기에, 몰타 등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할 것이 확실시된다.

한편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움직임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함께 미국 역시 유엔에서 열릴 두 국가 해법 회의가 가자지구 전쟁을 장기화하고, 하마스에 힘을 실어주게 될 것이라며 재개 결정에 반대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미국이 유엔 측의 재건안을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가디언은 가자지구 재건 계획안을 논의하고 있는 루비오 장관이 최근 유럽 국가들의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움직임과 관련해, 이스라엘이 대응 조치로 서안지구 강제 합병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해왔다고 전했다.

가디언은 또한 백악관에서 사실상 이스라엘의 가자지구·요르단강 서안 강제합병을 지지하는 계획안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이는 유럽·중동 국가들이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방안이라고 보도했다.

베냐민 네탸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전후 가자지구의 안정화 방안과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을 밝히지 않은 채, 가자지구에 이스라엘군을 영구 주둔한다거나, 팔레스타인 자치구인 요르단강 서안을 강제 합병하는 방안 등을 거론하고 있다.

가디언은 가자지구 해법과 관련한 최대 쟁점이 하마스의 무장해제와 하마스 출신·테러행위 이력 인사들의 선거 출마 허용 여부 등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