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건설경기가 심각한 부진의 늪에 빠졌다. 지역밀착형 산업인 건설업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지방 경제 전반의 활력이 떨어지고, 중소 건설사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내수 경기 회복과 고용 창출을 위해 지방 건설 생태계 회복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3일 한국은행 지역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건설업 생산은 공사비 부담, 누적된 주택 미분양, 대내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착공 감소세가 이어진 가운데 신규 수주마저 부진해 모든 권역에서 줄었다.
권역별로는 강원권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상반기 강원지역 공공 건설 수주액은 전년 동기 대비 33.3% 줄었고, 민간부문 역시 PF(프로젝트파이낸싱) 경색과 매수심리 위축 탓에 신규 사업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여기에 시멘트·레미콘 가격 상승, 건설사 재무 악화까지 겹치며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
호남권 역시 건설업 침체가 심각하다. 4월 말 기준 호남권 1분기 누적 착공면적은 전년 하반기 대비 17% 감소했고, 분양 실적(월평균)은 1600호로 같은 기간 대비 55.7% 급감했다.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새천년종합건설, 남양건설, 영무토건 등 지역 주요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준공 후 미분양도 증가세다. 7월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057가구로, 한 달 새 341가구(1.3%) 늘었다. 이 가운데 83.5%(2만2589가구)가 지방에 집중됐다. 대구(3707가구)가 가장 많았고, 경남(3468가구), 경북(3235가구), 부산(2567가구), 경기(2255가구) 순이었다. 준공 후 미분양 증가는 대금 회수가 지연되고 재무 부담이 커지는 만큼 시공사·시행사에 치명적이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건설업은 공공·민간 투자가 맞물리며 회복 국면을 마련했지만, 지금은 금리·물가·재정 여건이 모두 제약돼 단기 대응만으로는 회복이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는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선 유동성 공급과 공공 발주 정상화 같은 신속한 단기 부양책과 함께, 주택공급 확대·지역 맞춤형 대응·민간 투자 활성화 등 구조적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