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 '총파업' 초읽기…업계 "시스템 보완이 우선" 의견도

  • 94.98% 찬성으로 쟁의행위 가결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금융권을 둘러싼 노조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주 4.5일제 도입을 앞세워 총파업에 돌입한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소상공인, 고령층 등 대면 거래 의존도가 높은 계층에서 반발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이날 전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 결과 찬성이 94.98%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16일 총력 투쟁 결의대회를 열고 26일부터 총파업에 나선다. 금융노조 측 교섭 요구안은 △임금 5% 인상 △주 4.5일제 도입 △정년 연장 등이다. 노조 측은 새 정부가 중소기업의 주 4.5제 시행을 위한 예산을 편성한 데 힘입어 전국을 돌아다니며 주 4.5일제 도입 독려를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를 고려하지 않은 주장이라는 부정적 여론도 상당하다. 제도가 도입되면 기존 주 40시간 근무는 36시간으로 줄어든다. 5일 중 하루 근무 시간은 8시간에서 4시간으로 단축되는 것이다. 지점 운영시간이 그만큼 줄어들면서 고령층·소상공인 등 비대면 채널 활용이 어려운 고객들의 불편이 커질 수 있다. 심사부서 등에서 업무가 지연되며 당장 서비스가 필요한 고객들의 피해도 예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영업시간을 9~16시로 유지하되 하루를 오전·오후 근무조로 나누자는 방안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주 4.5일제 도입 의미가 있느냐는 직원들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소비자는 은행을 가지 않게 되며 은행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양날의 검"이라고 밝혔다. 

노조 측은 장시간 노동이 저출산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며 주 4.5일제가 출산율 회복과 관광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고 있어 업무 시간이 단축돼도 생산성 저하 우려가 작다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금융 공공성을 훼손하지 않으려면 지점 운영시간이 줄어도 이를 뒷받침할 시스템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근무시간 단축은 금융소외를 야기할 수 있다"며 "고령층을 위한 비대면,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강화하며 생산적 금융 기반을 확대하는 동시에 24시간 거래할 수 있는 앱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