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인공지능(AI) 시대에 맞춰 개인정보 보호 기술과 디지털 통상 현안을 논의하는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개인정보위는 20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제4차 '2025 개인정보 미래포럼'을 열고, AI 기술 발전과 함께 대두되는 프라이버시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이날 포럼에는 최신 기술 동향과 정책 방향을 주제로 두 명의 전문가 발표가 진행됐다.
첫 번째 발제자인 최대선 숭실대 AI안전성연구센터장은 딥페이크·딥보이스 생성 방지 기술 등 숭실대에서 연구 중인 다양한 프라이버시 강화 기술을 소개했다. 최 센터장은 원본 이미지나 음성에 인위적으로 노이즈를 주입해 딥페이크 콘텐츠 생성을 막는 기술과, 클라우드 서버 대신 스마트폰, 자율주행차 등 데이터가 생성되는 기기에서 AI 모델을 직접 실행하는 기술을 중심으로 발표했다.
이어 이규엽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신통상전략팀장이 '한미 디지털 통상 현안과 정책 시사점'을 주제로 특별 발제를 진행했다. 이 팀장은 개인정보 국외 이전 등 디지털 통상 관련 데이터 이슈를 중심으로 산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공유했다.
또한 미국·EU 등 주요국의 데이터 정책 변화와 디지털 기술 발전을 고려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통상 정책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개인정보위는 디지털 통상 활성화를 위해 미국 등 주요국과 안전한 데이터 이전 체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국외 이전 수단인 표준계약조항 도입을 추진하는 등 국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