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정부의 균형발전 정책 실패 요인으로 지목되는 정책 연속성 부족과 지방 대응 역량 약화, 교육과 경제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 등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아주경제신문과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김대식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11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지방소멸 위기 대응과 국가균형발전 전략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기조강연에 나선 김순은 서울대 행정대학원 특임교수는 "이재명 정부 임기 내 대통령 제2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완료 등 수도 기능의 이전으로 행정수도 1.0을 완성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이제는 새로운 국가균형발전·자치분권 정책과의 조화를 통해 행정수도 2.0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어진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은 외침에 그쳤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50.8%를 넘어섰으며 인력 확보와 인프라 편의 등을 이유로 기업들의 수도권 선호도 여전하다.
행정 추진 과정에서 '속도'를 강조하는 이재명 대통령의 기조에 따라 국가균형발전 정책은 새 전환점을 맞고 있다. 앞서 국정기획위원회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는 대통령 임기 내 세종 집무실을 건립하고 국민적 합의를 거쳐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이었던 해수부 부산 이전도 연내 완료를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서 두 번째 기조강연을 맡은 장하용 부산연구원 미래전략기획실장은 "비행기는 엔진 하나로 날 수 있지만 하나의 엔진으로는 문제가 생기면 위험하다"며 "같은 관점에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통한 해양 수도 육성이라는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새로운 엔진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