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경주시-포스코,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 위해 협력

  • 수소환원제철 성공적 추진 위해 원전 무탄소 전력 확보 노력

경북도가 1일 서울 포스코센터 회의실에서 경주시 포스코홀딩스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와 월성원전 등 원전 전력의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경북도가 1일 서울 포스코센터 회의실에서 경주시, 포스코홀딩스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와 월성원전 등 원전 전력의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경북도와 경주시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를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다.
 
도는 1일 서울 포스코센터 회의실에서 경주시, 포스코홀딩스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 경주 유치와 월성원전 등 원전 전력의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정부의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의 경주 유치와 인근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철강 탄소중립 기술인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전력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3개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소형모듈원전(SMR) 국내실증 1호기 경주 유치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투자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전력의 공급 방안 마련 등 앞으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최근 경북도와 경주시는 대형 원전에 비해 안전성이 대폭 강화되고 소형으로 산업계 수요가 높은 소형모듈원전(SMR)을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첨단산업 집적을 위한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조성, 제작 지원센터 구축 및 소형모듈원자로 연구기관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 설립 등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의 경주 유치와 원전 전력을 활용한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어, 산업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국내 최대 전력과 수소 활용 기업인 포스코홀딩스와의 업무 협약 체결은 산업 육성에 큰 의미가 있다.
 
경북 포항에 본사를 둔 세계 7위의 조강 생산 능력을 보유한 세계 철강 기업인 포스코는 우리나라 산업근대화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으나, 최근 미국 철강 관세 강화, 유럽연합(EU) 탄소 관세 장벽 등 국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고, 해결책으로 원전 전력을 활용한 수소환원제철 중심의 탄소 감축 공정으로의 전환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에 붙은 산소를 떼어내기 위한 환원제로 기존 사용하던 석탄이나 천연가스 대신 수소를 활용해 전기로에서 쇳물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철강 생산 과정에 배출되는 탄소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 감축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철을 녹이기 위한 1538도(℃)의 무탄소 내지는 저탄소 열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인데, 가장 큰 문제는 비용이다.
 
이에 따라 수소환원제철의 성공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값싼 무탄소 전원을 24시간 확보하는 게 핵심인데 이를 가능케 하는 에너지원은 현재로선 원전밖에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이는 간헐성이 있는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어 전력구매계약(PPA)을 통해 민간이 원전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철강 업계의 탈탄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국가 탄소 감축 목표 달성의 핵심적 요소로서 이제는 정부가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지역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포스코와 소형모듈원전(SMR) 협력을 강화해 앞으로 원전 전력을 통한 탄소 감축 공정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