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지난 2월 4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 서울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최대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와 자금조달 및 기업공개(IPO)를 위한 파트너십 조건 재조정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오픈AI가 회사 구조를 비영리 조직의 통제권이 유지되는 공익법인으로 개편하는 와중에 MS와 파트너십 조건을 재조정하는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협상의 핵심은 그동안 오픈AI에 130억 달러(약 18조2000억원)를 투자해 49%의 지분을 가진 MS가 새로 개편되는 오픈AI의 지분 중 얼마를 받을 수 있느냐에 관한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또 오픈AI의 향후 IPO 추진에 대비하면서 동시에 MS가 자사의 첨단 AI기술에 대한 우선 접근권을 보장받는 것도 주요 논의 대상 중 하나다.
아울러 양측은 2019년 MS가 오픈AI에 10억 달러를 투자했을 당시 작성한 광범위한 계약 조건도 개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계약은 2030년까지 유효하다. 여기에는 MS가 오픈 AI의 인공지능(AI) 모델과 서비스 등 지적재산권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범위와 수익 배분 권한이 포함됐다.
양사 간 논의 내용을 아는 3명의 소식통은 MS가 2030년 이후 개발되는 신규 기술에 대한 접근권을 얻기 위해 오픈AI의 새 공익법인 개편 후 지분 일부를 포기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앞서 오픈AI는 지난 5일 회사 구조를 공익법인(PBC)으로 개편한 뒤에도 비영리 조직이 전체 사업 통제권을 유지하게 된다고 밝혔다. 공익법인은 영리와 공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기업이다.
당초 오픈AI는 비영리 조직의 통제에서 완전히 벗어나 영리를 추구하려 했으나, 결국 이를 포기하고 비영리 조직의 지배구조를 유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FT는 “AI가 인류 전체에 이익이 돼야한다는 오픈AI의 설립 목적을 유지하면서도 투자 유치와 IPO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이에 대해 오픈AI의 주요 투자자들은 우려를 표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영리 조직의 통제권을 유지하면서 공익과 영리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울러 오픈AI가 공익법인으로 개편하려면 법인 등록지인 델라웨어주 당국을 설득해야 한다. 이를 위해 회사 측의 영리 추구 계획이 공익을 위한 사명을 준수한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오픈AI의 사업 부문을 공익법인으로 전환하려는 새로운 계획이 실패할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컬럼비아 로스쿨의 도로시 룬드 법학 교수는 “오픈AI는 이제 MS와 같은 투자자들의 손에 미래를 맡긴 셈”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사명 중심의 회사가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해야 할 때 매우 위험한 위치에 놓인다”며 “투자자들이 앞으로도 수십억 달러를 써주길 바라면서도 그들을 만족시켜야 하는 줄타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