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 염증 질환 조절할 표적 발견… 생체영상기술 개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대구) 이인수 기자
입력 2023-05-01 17:2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새로운 표적 발견과 생체영상기술 개발

케이메디허브 연구진은 염증성 질환에 중요한 대식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이를 이용한 생체영상술을 개발해 관련 논문을 국제저널에 게재했으며, 케이메디허브 전임상센터 전용현 팀장(오른쪽)과 신약 개발지원 전희전 선임연구원이다. [사진=케이메디허브]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연구진이 염증 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 표적을 발견하고, 살아있는 동물에서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생체영상기술을 개발해,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했다.
 
이번 연구진들은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뇌세포 간 신호전달을 조절하는 신경 수용체인 ‘N-메틸-D 아스파르트산염(NMDA)’ 수용체기전 및 생체영상기술로 염증 탐지 가능한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저널 ‘셀 앤 바이오 사이언스’(Cell & Bioscience, IF: 9.584)에 게재했다.
 
염증성 대식세포는 신체 내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중요한 면역세포 중 하나로서, 대사질환·암·패혈증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케이메디허브 연구진은 염증성 대식세포의 활성이 NMDA 수용체를 통해 조절됨을 밝혔다. 염증성 대식세포가 증가하면 염증이 심해지는데, 신체 손상 전에 수용체 조절로 염증을 유발하는 대식세포를 원천 차단하면 많은 질환 유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리라 주목받고 있다.
 
또한 NMDA 수용체 항체와 근적외선 형광물질을 활용하여 살아있는 동물에서 염증성 대식세포를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 영상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관련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동물을 죽이지 않아도 영상기술을 이용해 형광물질 사이즈를 확인할 수 있어 치료가 진행되는지 실시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해당 논문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의 박근규, 최연경 교수팀 주축으로 케이메디허브 전용현 팀장(전임상센터 신약평가팀)과 전희전 선임연구원(신약개발지원센터 유효성평가팀)이 함께 참여했다.
 
양진영 이사장은 “염증성 대식세포는 다양한 질환에서 치료제 개발의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라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염증 질환 메커니즘을 해결할 치료제 개발까지 이어지도록 열심히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