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수요는 부산·울산에 많은데 기업형 임대 용지는 위례·동탄2신도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2-12 14:3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기업형 임대 용지 월세 비중 절반 넘는 지방 대신 수도권 집중

[자료=국토교통부]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기업형 민간임대 시장이 조기에 정착하려면 부지 공급 정책을 지역적 수급 상황을 고려해 보다 정밀하게 세워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월세 전환율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부산과 울산 등 지방 일부지역에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이 원활이 이뤄져야 하는 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급하는 기업형 임대용지가 위례·동탄2신도시 등 수도권에만 몰려 있기 때문이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146만6566건으로 이중 월세가 41.0%인 60만866건이 거래됐다. 전년(39.4%)보다 비중이 1.6%포인트 상승하며 처음으로 40%를 넘어선 것이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수도권에 비해 지방, 특히 부·울·경으로 불리는 경남권 월세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은 지난해 7만8128건의 전월세 거래 중 월세가 4만4477건으로 56.9%에 달했다. 임차 계약 10건이 이뤄지면 그중 5~6건은 월세라는 의미다. 이어 경남이 54.3%(3만1330건), 울산 52.4%(1만1124건)로 뒤를 이었다. 제주(52.4%)와 전북(50.9%)·경북(50.5%)의 월세 비중도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반면 서울·수도권은 지방에 비해 낮은 월세 비중을 기록했다. 서울의 경우 44만2954건 중 월세가 17만7504건로 40.10%를 차지했다. 인천(37.20%)과 경기도(36.50%)는 40%에 못 미쳤다. 권역별로 봐도 서울·수도권의 월세 비중은 38.30%(34만5573건)에 그쳤지만 지방은 46.50%(20만8066건)다.

월세 비중의 증가폭이 두드러진 지역도 지방이 대부분이었다. 제주도 월세 비중은 1년새 7%포인트, 전북은 4.4%포인트나 증가했다. 이어 충북(35.3%)이 3.6%포인트, 충남(38.3%) 3.5%포인트, 경북 3.4%포인트 등 순이다.

지방의 월세 비중이 높은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거비용 등 지역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봤다.

한국감정원 전선구 부동산통계센터 과장은 “지방 다세대나 단독 같은 주택은 대부분 월세로 놓는 경우가 많고 임대료도 저렴해 전세와 비교해 주거비 부담이 큰 차이 없어 저항이 적은 편”이라며 “저금리 등으로 월세 전환이 대세인 가운데 전세 물량 부족 등도 월세 비중 증가과 연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제는 기업형 임대를 추진하는 국토부가 공급하는 LH의 보유 택지가 모두 서울·수도권에 몰렸다는 것이다. 지난달말 국토부가 공개한 LH의 기업형 임대 대상 용지는 총 24개 블록으로 1만여가구 주택을 지을 수 있다. 택지가 위치한 곳은 위례·동탄2신도시를 비롯해 김포한강·남양주별내신도시 등 대부분 수도권 인기 택지지구다.

국공유지 등을 활용해 지방에서도 충분히 기업형 임대를 공급할 수 있지만 성공 모델을 찾기 어려운 지방 대신 서울·수도권에 중점을 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민간 건설사가 직접 아파트를 지어 공급해야 하니 안정적인 수익 확보가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며 “기업형 임대 용지 공모 시에도 위례신도시 등 인기 지역에 신청이 몰리는 등 양극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전세난이 서울을 시작으로 확산되는 것인 만큼 처음에는 서울·수도권에 정책을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허윤경 연구위원은 “매매가 대비 전세가의 비율이 훨씬 높은 지방이 공급자 입장에서 보면 임대수익을 올리기 수월할 수 있다”면서도 “전월세 가격 불안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나타나다 보니 수도권에 정책을 집중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