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산 한라봉 자근 발생…'묘목 생산'에 달렸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2-05 10: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5일 '자근' 예방법 공유하기 위한 워크숍 개최

▲한라봉, 기사 내용과 관계없슴 [사진=연합]


아주경제 진순현 기자=제주 만감류(한라봉, 천혜향 등) 농가들이 자근(自根) 발생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근’은 한라봉 감귤나무의 대목인 탱자의 뿌리가 아닌 접목부위 주변에서 접수인 한라봉에서 나온 뿌리를 말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만감류를 재배할 때 문제가 되는 자근 발생에 대해 바로 알리고 예방법을 공유하기 위해 제주도감귤연구소에서 워크숍을 개최 한다고 5일 밝혔다.

이날 워크숍에는 묘목업체를 중심으로 관련 기관의 연구자와 지도자 등 실무자들이 참석해 3가지 주제로 진행된다. △한라봉의 자근 발생 원인과 자근 나무의 생리 반응 △한라봉 자근 발생 방지와 예방을 위한 재배 관리법 △한라봉 자근 발생 예방을 위한 접목 방법과 실습으로 구성돼 있다.

한라봉과 같은 만감류 나무는 보통 탱자나무 대목 위에 한라봉 나무를 접목해서 묘목을 생산한다.
이때 온주밀감 묘목을 만들 때처럼 탱자대목의 가시 다듬기 작업을 줄이기 위해 대목 노출을 하지 않고 뿌리 바로 위에 접을 붙이는 잘못된 습관 때문에 자근이 발생한다.

묘목을 심을 때는 접목 부위가 자연스레 땅에 묻히면서 접수인 한라봉에서 뿌리가 나와 정상나무에 비해 뿌리 활력이 왕성해져 질소 흡수량이 많아지게 된다. 아울러 꽃이 적게 달려 열매 수량이 적어지고 과실 커짐이 불량하는 등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로 이어진다.

이에 자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묘목업체와 농가에서 묘목을 만들 때 접목 높이를 6∼10cm로 충분히 높여 접목을 하고 묘목을 심을 때도 이 정도의 간격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농촌진흥청 감귤연구소 강석범 박사는 “묘목을 만드는 모든 농가와 육묘자들이 다같이 합심해 철저히 대목을 노출해 접을 붙이고 묘목을 심는다면 자근 발생을 없앨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업진흥청이 지난해 한라봉 등 자근 피해로 인한 경제손실을 분석한 결과 전체 재배면적의 33%에서 자근 피해가 발생, 300억원 상당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