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SM3 CE 전면 모습. (사진제공=르노삼성) | ||
준중형 세단 SM3(사진)가 르노삼성의 내수판매 뿐 아니라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2002년 전체 수출의 2.7%에 불과했던 SM3는 지난해 월평균 4000대 이상을 판매하며 전체 수출량의 60%를 차지하게 됐다.
SM3는 2006년부터 오히려 해외에서 더 많이 판매되기 시작했다. 내수 판매도 전체 판매순위 4위(2월 기준)로 결코 적지 않은 가운데서 이뤄낸 성과다. 과연 그 비결이 뭘까.
◆품질·현지화 브랜드 전략 주효
르노삼성은 SM3의 수출 호조 비결에 대해 △높은 품질 △현지화 브랜드 전략을 강조했다.
SM3는 1000만원대 초·중반의 합리적인 가격대에도 국내외 각종 시험에서 품질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SM3는 지난 2002년 르노삼성 브랜드로 SM3 수출을 시작했다.
시작 당시 2.7%에 불과했던 SM3의 수출 비중은 2006년 닛산의 ‘써니’ 및 ‘알메라’ 브랜드로 본격 수출되면서 판매량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2006년 한해 동안 판매된 양만 해도 4만813대에 달한다. 이 때부터 수출 비중(57.8%)이 내수 판매를 앞질렀다.
![]() |
||
| 지난 2006년 닛산 '써니' '알메라' 브랜드로 수출된 SM3 모습. (사진제공=르노삼성) | ||
지난해 SM3는 전체 수출 물량(5만6181대) 중 59.6%인 3만3510대가 수출됐다.
특히 1월에는 1821대 수출됐던 데 반해 그해 말(12월)에는 5390대가 판매되며 그 해 동안에만 약 3배의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 2002년 첫 수출 이래 지난 2월까지 누적 수출 대수는 총 18만8425대다.
이 같은 판매량 증가는 각 국가별로 보다 호감도 높은 브랜드로 판매하는 현지화 전략도 한 몫 했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메리트를 극대화한 것이다.
SM3는 현재 칠레·중동·아프리카·남미·유럽 등지로 판매되고 있는데 칠레에서만 한국과 같은 ‘르노삼성’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
그 밖에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닛산 ‘써니(Sunny)’로 남미와 유럽 지역에서는 닛산 ‘알메라(Almera)’로 판매중이다.
지난 7일에는 르노의 ‘스칼라(Scala)’ 브랜드로 이집트·콜롬비아·멕시코 지역 수출을 시작했다.
| 지난 4일 르노 브랜드 '스칼라'로 수출된 SM3 모습. 이날 선적된 900대의 차량은 이집트·콜롬비아·멕시코 지역으로 판매된다. (사진제공=르노삼성) | ||
◆뉴 SM3 수출 준비도 ‘이상무’
SM3의 2세대 모델인 뉴 SM3의 수출 준비도 착착 진행되고 있다. 이 차량은 지난해 7월 출시됐다.
먼저 지난해 8~10월 루마니아에서 총 30대의 SM3로 150만㎞의 주행 시험을 마쳤다. 이 실험은 일반 고객의 5년(10만㎞) 주행 상황을 3개월 동안 재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수도 부크레슈티부터 고속도로·일반도로·산악지형 및 주행시험장을 넘나드는 코스를 통해 신차의 품질을 면밀히 검토했다.
르노삼성은 이 실험을 차량 지속 품질 향상은 물론 향후 성공적인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삼겠다는 전략이었다.
그 결과 지난해 자동차 전문 리서치기관 ‘마케팅 인사이트’ 국내 준중형차 부문에서 초기품질 및 내구품질 최우수 차량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교현 르노삼성 홍보본부장(상무)는 “르노삼성은 향후 수출선 다변화로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및 르노그룹 내 아시아 허브로써의 역할을 적극 수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nero@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