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日 정부, 필리핀 쌀 유통 가공에 17억 엔 지원 일본 정부가 필리핀의 쌀 유통·가공 인프라 개선을 위해 최대 17억 엔 규모의 무상자금협력을 실시한다. 주필리핀 일본대사관은 루손섬 이사벨라주 카우아얀 지역의 쌀 건조·저장·정미 과정에 필요한 수확 후 처리 장비를 지원하는 내용의 협력사업을 실시한다고 16일 발표했다. 같은 날 필리핀 정부와 교환공문 서명 및 서한 교환이 이루어졌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필리핀은 세계 최대의 쌀 수입국으로, 2024년도에는 약 470만 톤의 쌀을 해외에서 들여왔다. 수확 후 손실과 장비 부족, 노후화로 인해 국 2025-10-22 12:08 -
[NNA] 미얀마 총선, 57개 정당 4,963명 후보 출마 미얀마 선거관리위원회(UEC)가 오는 12월 28일로 예정된 총선거를 앞두고 선거운동 기간을 10월 28일부터 12월 26일까지로 확정했다. 각 정당 대표들은 연설 내용을 10월 15일까지 선관위에 제출하도록 지시받았다고 독립 매체 ‘버마 민주의 목소리(DVB)’가 17일 보도했다. UEC 발표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는 57개 정당에서 4,868명, 무소속 95명 등 총 4,963명이 입후보했다. 전국 규모로 후보를 낸 정당은 6곳으로, 군 계열인 연방단결발전당(USDP)이 최다인 1,018명을 공천했다. 이어 국민통일당(NUP) 694명, 국민 2025-10-22 11:49 -
[NNA] 베트남, 스마트시티 개발 위한 새 기준 발표 베트남 정부가 스마트시티 개발과 관련한 기준과 관리 방안을 규정한 새 시행령을 발표했다. 베트남 정부는 ‘스마트시티(사회 인프라에 차세대 기술을 접목한 도시)’ 개발에 대한 지침을 담은 정령 제269호(269/2025/ND-CP)를 14일 공포했다고 정부 공식 사이트를 통해 16일 밝혔다. 정령에 따르면 주관 부처인 건설부가 5년마다 국가 차원의 스마트시티 개발 방안을 마련해 총리의 승인을 받게 된다. 스마트빌딩 건설 기준으로 △에너지 절약으로 기후변화에 대응 △건물의 3차원 모델을 컴퓨터상에 구축해 공사 2025-10-22 11:28 -
[NNA] 항생은행, 루앤 림 신임 CEO 공식 취임 홍콩의 항생(恒生)은행이 새로운 최고경영자(CEO)로 루앤 림(林慧虹) HSBC 홍콩지역 CEO를 선임했다. 항생은행은 성명을 통해 림 CEO가 20일부로 공식 취임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지난 9월에 이미 발표한 바 있다. 림 CEO는 1999년 HSBC에 입행했으며, 이후 4년간 홍콩지역 CEO를 맡아왔다. 전임 다이애나 시저(施穎茵) CEO는 HSBC 홍콩(香港上海銀行)의 홍콩지역 부회장으로 자리를 옮기며, HSBC 아시아·중동 공동 CEO 자문 역할을 맡는다. 한편 림 CEO의 후임으로는 매기 응(伍楊玉如) HSBC 홍콩지역 2025-10-22 10:48 -
[NNA] 中 조선 수주량 감소, 세계 점유율은 여전히 강세 중국의 올해 1~9월 조선 수주량이 전년 동기보다 24%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세계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60%를 크게 웃돌며 절반 이상을 유지했다. 중국선박공업협회가 17일 발표한 ‘2025년 1~9월 조선 지표’에 따르면, 신규 수주량은 재화중량톤수(DWT) 기준 6,660만 DWT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5% 감소했다. 감소폭은 상반기(1~6월)의 18.2%에서 확대됐다. 중국의 신규 수주 세계 점유율은 67.3%였다. 9월 말 기준 수주 잔량은 전년 동월 대비 25.3% 늘어난 2억 4,224만 DWT로 집계됐다. 같 2025-10-21 17:16 -
[NNA] 대만과 미쓰비시, 메가와트급 PCS 개발 착수 미쓰비시(三菱)전기가 대만 국책연구기관인 공업기술연구원(ITRI)과 손잡고 대규모 변전 시스템 기술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메가와트급 변전장치(PCS) 기술 제휴에 관한 기본협정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협력에는 미쓰비시전기의 대만 현지 판매법인인 대만미쓰비시전기도 참여한다. 최근 탈탄소 사회 실현을 목표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도입이 늘면서, 직류와 교류 전력을 상호 변환하는 PCS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미쓰비시전기는 자사의 고효율 파워반도체 모듈을 탑재한 메가와트급 PCS를 공업기술 2025-10-21 17:05 -
[NNA] IMF, 태국 2025년 성장률 2.0% 전망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에서 태국의 2025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0%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7월 발표한 예측치를 그대로 유지한 것이다. IMF에 따르면 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회원국 가운데 최저 수준이다. 태국을 포함한 아세안 주요 5개국(태국·인도네시아·필리핀·말레이시아·싱가포르)의 2025년 평균 성장률 전망은 4.2%로, 7월의 4.1%에서 소폭 상향됐다. 한편 IMF는 2026년 태국의 성장률을 1.6%로 예상했다. 이는 2025-10-21 12:22 -
[NNA] 싱가포르 MAS, 결제기능 확장 프로젝트 개시 싱가포르 금융관리청(MAS, 중앙은행)은 디지털 결제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한 새로운 프로젝트 '블룸(BLOOM) 이니셔티브'가 출범했다고 16일 발표했다. 금융기관과 협력해 급변하는 디지털 결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블룸'은 경계 없는(Borderless), 유동적(Liquid), 개방적(Open), 온라인(Online), 다통화(Multi-currency)의 머리글자를 딴 명칭이다. 금융관리청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금융기관들과 협력해 토큰화된 은행 부채와 적절히 규제된 스 2025-10-21 12:17 -
[NNA] 말레이시아 출생아 수 9% 감소, 저출산 심화 말레이시아의 출생아 수가 2024년에 전년보다 9% 줄며 저출산 추세가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말레이시아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2025년 인구동태통계'에 따르면, 2024년 출생아 수는 41만 4,918명으로 집계됐다. 여성 1명이 평생 낳는 평균 자녀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은 1.6명으로, 2023년의 1.7명에서 하락했다. 성별로는 남아가 213,919명으로 전체의 51.6%를 차지했고, 여아는 200,999명이었다. 민족별 합계출산율은 말레이계가 1.9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말레이계 이외의 부미푸트라(원주민계)가 1.6명, 인도 2025-10-21 12:04 -
[NNA] 미얀마군 총사령관, 中 특사단 회담 미얀마 군사정부 서열 1위인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총사령관은 덩시쥔(鄧錫軍) 중국 외교부 아시아담당 특사 일행과 수도 네피도에서 회담을 가졌다. 양측은 조만간 실시될 예정인 미얀마 총선 준비 상황을 비롯해 전국휴전협정(NCA) 10주년, 국경 지역의 치안 협력 등 폭넓은 현안을 논의했다고 미얀마 정보부가 15일 밝혔다. 덩 특사는 회담에서 중국 정부가 미얀마의 안정과 발전, 정치적 화해 추진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양국 관계의 지속적인 발전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 2025-10-21 11:52 -
[NNA] 印 GST 감세 효과, 스즈키 엔트리급 판매 급증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 스즈키의 인도 현지 자회사 마루티 스즈키가 최근 한 달 동안 25만 대의 차량을 판매하고 40만 건의 예약 판매를 기록했다. PTI 통신이 보도했다. 지난달 22일 시행된 물품·서비스세(GST) 감세 조치에 따라 특히 엔트리급 차량의 판매가 크게 늘었다. 마루티 스즈키의 관계자는 "엔트리 레벨 차량만 한 달 새 8만 건이 넘는 예약이 들어왔다"며 "첫 차를 구입하려는 소비자들이 컴팩트카를 중심으로 판매점을 찾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륜차에서 승용차로 갈아타는 추세가 뚜렷하다 2025-10-21 11:34 -
[NNA] 印尼상공회의소, 구글과 중소기업 지원 협력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가 미국 구글과 손잡고 중소·영세기업의 디지털 역량 강화에 나선다. 두 기관은 구글의 현지 법인인 구글 인도네시아 및 산하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를 통해 중소기업의 능력 개발과 콘텐츠 크리에이터 육성을 추진하는 협력 각서를 15일 체결했다. 양측은 이를 통해 중소·영세기업 5만 곳의 디지털 생태계 참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 클라리사 부회장(통신·디지털분야 담당)은 이번 협력의 핵심을 △디지털 기술 역량 제고 △시장 접근성 확대 △실무형 기술 습득의 2025-10-21 11:15 -
[NNA] G42, 호찌민에 20억 달러 AI 데이터센터 건설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AI) 기업 그룹42(G42)가 베트남 호찌민시에 20억 달러(약 3,020억 엔)를 투입해 AI 슈퍼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호찌민시 과학기술국의 람 딘 탄 국장이 15일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고 VN익스프레스 등이 전했다. 호찌민시는 이날 폐막한 2025~2030년 임기의 시 공산당 대회에서 G42의 투자 계획을 중앙정부에 보고하고, 투자자와의 협의를 담당할 실무그룹(워킹그룹)을 신설했다. G42는 2018년 설립된 기업으로, 정부·공공서비스, 석유·가스, 의료, 금융, 우 2025-10-20 16:09 -
[NNA] 美 FCC, HKT의 미국 사업면허 취소 발표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홍콩 통신·미디어 기업 덴쉰잉커(電訊盈科 PCCW) 산하의 HKT(인터내셔널)에 대해 미국 내 사업면허를 취소할 방침을 밝혔다. 현지시간 15일 발표된 이번 조치는 HKT가 중국 국유 통신사 차이나유니콤(中國聯合網絡通信)의 미국 법인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는 점이 이유로 지목됐다. FCC의 브렌던 카 위원은 “미국 통신망의 안전성과 완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FCC는 HKT와 그 자회사에 대해 면허 취소가 부당하다고 판단한다면 그 사유를 서면으로 2025-10-20 15:57 -
[NNA] 닛산, 中 시장에 페어레이디 Z 니스모 출시 닛산자동차가 내년 중국 시장에 스포츠카 '페어레이디 Z 니스모'를 출시한다. 저장성 항저우에서 16일 열린 베이징사무소 설립 40주년 기념행사에서 이반 에스피노사 닛산 사장이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에스피노사 사장은 "2026년 중국 라인업에 동 모델을 추가 투입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며, 일본 내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대표 모델을 중국 시장에 투입해 제품군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페어레이디 Z 니스모는 기존보다 주행성능을 높인 고성능 버전이다. 일본에서는 올해 1월부터 2025년 2025-10-20 15:07 -
[NNA] 대만 1~9월 해외투자 22% 감소 대만 경제부 투자심의국은 올해 1~9월 대만 자본의 해외투자액(중국 제외, 인가 기준)이 325억 8,079만 8,000달러로 집계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6% 감소한 수준이다. 전년에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TSMC의 대규모 해외투자가 있었던 기저효과가 이번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같은 기간 해외투자 건수는 634건으로 17.6% 증가했다. 국가·지역별 투자액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제도 등 카리브해 조세회피지 210억 3,590만 5,000달러(2.5배 증가) △미국 33억 502만 8,000달러(76.3% 감소) △싱 2025-10-20 12:25 -
[NNA] 디지털하츠, 방콕에 게임 번역 거점 설립 IT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본의 디지털하츠홀딩스는 태국 방콕에 현지 자회사를 설립한다고 15일 밝혔다. 새 법인은 게임 번역과 로컬라이제이션(현지화) 서비스를 담당하는 주요 거점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신설 법인 ‘디지털하츠 방콕(DIGITAL HEARTS BANGKOK)’은 이달 중 설립을 마칠 계획이다. 현지 언어와 문화에 정통한 엔터테인먼트 인재들이 중심이 되어 번역 및 현지화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디지털하츠 측은 태국 내 게임 이용자 수가 증가세를 보이면서, 태국어 번역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 2025-10-20 11:56 -
[NNA] 유니클로부터 영화관까지, SM시티 라우니온 오픈 필리핀 재벌기업 SM그룹이 루손섬 북부 라우니온주 산페르난도시에 신설한 상업시설 ‘SM시티 라우니온’을 17일 개장했다. 이번 매장은 필리핀 내 89번째, 루손섬 북부 지역에서는 9번째 지점이다. SM그룹의 부동산 개발·운영 자회사인 SM프라임홀딩스가 이같이 발표했다. 총 임대면적은 5만 1,000㎡ 이상으로, 80% 이상이 이미 입점 계약을 마쳤다. 유니클로, 리바이스, 아디다스 등 해외 브랜드를 비롯해 SM그룹 계열 소매점과 영화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샌드박스(Sandbox)’라 불 2025-10-20 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