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대만 외화표시보험, 지난해 1~11월 신규수입 38% 감소 대만 금융감독관리위원회는 외화표시보험의 신규계약에 따른 2023년 1~11월 보험료 수입이 대만달러 환산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한 2449억 3600만 대만달러(약 1조 1580억 엔)라고 1일 밝혔다. 외화표시보험의 내역을 보면, 투자형 상품의 보험료 수입이 51% 감소한 602억 5700만 대만달러. 기존형 상품의 보험료 수입은 32% 감소한 1846억 7900만 대만달러. 통화별로는 미국달러 표시가 40% 감소한 74억 5400만 달러(약 1조 1060억 엔)를 기록했다. 이 중 투자형은 59% 감소한 15억 6300만 달러, 기존형은 32% 감소한 58억 2024-02-06 18:16
-
[NNA] 태국 정부, 오후 주류판매금지 폐지? 태국 정부는 알콜음료 판매규제를 완화해 현재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오후 2~5시 판매를 전면 허용할 전망이다.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해금이 검토되고 있다. 방콕포스트가 4일 보도했다. 촌난 시깨우 보건부 장관은 태국주류사업협회(TABBA)의 오후 2~5시 알콜음료 판매금지 해제 요청에 대해, 정부 알콜음료규제위원회(위원장: 촌난 시깨우 보건부 장관)에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소식통에 따르면, 동 위원회는 이달 15일 개최되는 회의에서 판매금지 해제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동 위원회가 해금을 결정할 경우, 국가 2024-02-06 17:22
-
[NNA] 필리핀 알터너지, 中 기업 풍차 조달 필리핀의 신재생 에너지 개발회사 알터너지 홀딩스는 메트로 마닐라 근교 케손주와 리살주에서 개발하고 있는 육상풍력발전사업과 관련해, 중국 기업으로부터 풍차를 조달한다고 1일 밝혔다. 계약에는 설계・제조・설치 및 10년간의 보수관리가 포함되어 있다. 홍콩에 거점을 둔 엔비젼 에너지 인터내셔널 트레이딩과 풍차 조달계약을 체결한다. 케손주 아라바트발전소는 6500kW분, 리살주 타나이발전소는 8000kW분의 풍차를 조달한다. 양 발전소의 최대출력은 16만 4000kW. 모두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양 사업은 에너지부가 2024-02-06 16:01
-
[NNA] EU, 미얀마 인도지원에 1920만 유로 승인 유럽연합(EU)은 올해 미얀마에 대해 인도적 목적으로 1920만 유로(약 30억 6000만 엔)를 지원한다. EU의 미얀마에 대한 인도적 지원금으로는 역대 최고액이다. EU집행위원회는 국내분쟁이 끊이지 않는 미얀마 국민들을 긴급 지원하기 위해 동 인도지원금을 승인했다. 집행위는 지난해 260만명에 달하는 국내 피난민과 무력분쟁의 영향 하에 있는 미얀마 국민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EU는 우선 지원 분야로 식량과 가설주택, 식수, 위생설비, 의료의 제공, 지뢰 위험에 관한 교육 등을 꼽았다. 아울러 지원금 중 200만 유로는 교육 2024-02-06 15:35
-
[NNA] 이마트24, 6월 캄보디아 1호점 개설 신세계그룹은 편의점 이마트24 캄보디아 1호점을 6월에 오픈한다고 2일 밝혔다. ■ 5년 내 100개점 출점 이마트24는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은 사이한 파트너스와 캄보디아에서 기념행사를 개최, 캄보디아 출점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5년 이내에 캄보디아에 100개점을 출점할 계획이다. 이마트24는 2021년부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진출하는 등 동남아시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사이한 파트너스는 캄보디아의 사이손 브라더 홀딩과 국내 건설사 한림건축그룹의 합작법인이다. 한림건축그룹은 2017년 캄보디아에 법인을 설 2024-02-06 14:26
-
[NNA] 캄보디아 부패인식지수, 8계단 하락한 158위 반부패운동 비정부단체인 국제투명성기구(TI)가 공표한 ‘부패인식지수(CPI) 2023’에서 캄보디아는 전체 180개국・지역 중 158위를 기록, 전년보다 순위가 8계단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인식지수는 국제기구나 연구소 등의 데이터를 근거로 부패인식도를 100점 만점으로 수치화한 것. 수치가 높을수록 부패가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 캄보디아의 2023년 지수는 22. 2022년의 24, 2021년의 23보다 악화됐다. TI 캄보디아의 관계자는 설명 책임과 감시의 강화, 법개정 등을 통해 부패일소를 위한 개혁을 가속화 2024-02-06 13:45
-
[NNA] 日 오츠카제약, 印尼 스포츠 투어리즘 진흥 지원 일본 오츠카(大塚)제약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아메르타 인다 오츠카는 인도네시아의 가루다인도네시아항공, 관광창조경제부와 협력해 인도네시아의 ‘스포츠 투어리즘’(관광자원과 스포츠의 융합) 활성화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협력기간은 2년.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수카르노하타국제공항에서 가루다항공의 기체에 오츠카제약의 이온음료 ‘포카리스웨트’ 로고 등이 그려진 특별도장기를 선보였다. 동 항공기는 보잉 737-800NG기. 최초 비행으로 리아우제도 바탐섬을 향해 3일 운항됐다. 3일은 아메르타 인 2024-02-06 12:58
-
[NNA] 베트남 호치민시 올 1Q 성장률 목표 6.5% 사진=게티이미지 응우옌 반 중 베트남 호치민시 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은 1분기 호치민시의 실질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를 6.5% 이상으로 설정했다고 1일 밝혔다. 2024년 연간 목표는 7.5~8%. VN익스프레스가 이날 보도했다. 시 인민위원회는 호치민시개발연구소(HIDS)가 제시한 2024년 성장 시나리오 3가지 중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목표설정의 전제로 채택했다. 동 연구소의 낙관 시나리오는 국내 및 세계경제가 함께 회복돼 시의 소비 및 경제활동이 활성화 되면 1분기에 6.56%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예측했다. 한편 2024-02-06 12:09
-
[NNA] 홍콩공항관리국 리테일 채권, 3.1배 응모 홍콩국제공항을 운영하는 홍콩공항관리국(AAHK)은 리테일 채권 구매신청과 관련해, 발행액 상한인 50억 HK달러(약 950억 엔)에 대해 3.1배(156억 9082만 HK달러)의 응모가 있었다고 1일 발표했다. 신청은 지난달 25일에 마감됐다. 지정은행이 149억 6447만 HK달러, 청산・결제기관 업무를 담당하는 홍콩중앙결산(HKSCC)이 7억 2635만 HK달러(지정증권사 포함)의 신청을 했다. 지정은행은 9일까지, 홍콩중앙결산은 발행일인 5일까지 추첨결과를 통지한다. 채권의 표면금리는 연 4.25%이며 이자지급기일은 3개월. 5일 발행되며, 6일 2024-02-06 11:21
-
[NNA] 무인양품, 베이징에 중국 최대 매장 오픈 생활잡화 브랜드 ‘MUJI(무인양품)’를 운영하는 양품계획(良品計画)은 베이징 플래그십 스토어를 2일 오픈했다. 매장면적, 판매상품 모두 중국 최대 매장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재활용 가구 판매 등 새로운 아이템도 시도됐다. 차오양(朝陽)구의 상업시설(北京朝陽大悦城)의 지하 1층~지상 2층에 매장을 오픈했다. 매장면적은 4950㎡로 지금까지 중국 최대 매장이었던 상하이(上海)시의 매장(3300㎡)보다 넓다. 매장 오픈 행사에 참석한 시미즈 사토시(清水智) 2024-02-06 10:38
-
[NNA] 미쓰비시車, 태국에 첫 HV차 투입 미쓰비시(三菱)자동차의 태국법인 미쓰비시 모터스 타일랜드(MMTh)는 소형 MPV ‘익스팬더’의 상위 모델 ‘익스팬더 크로스’의 하이브리드(HV) 모델을 1일 태국 수도 방콕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날부터 판매를 개시했다. 미쓰비시자동차가 하이브리드 모델을 시장에 투입하는 것은 태국이 최초다. 익스팬더와 익스팬더 크로스의 하이브리드 모델은 7인승. 태국 동부 촌부리현 램차방의 공장에서 전량 생산한다. 1.6ℓ의 가솔린 엔진에 제너레이터와 최대출력이 85kW의 모터를 조합했다. 전용 구동용 배터리 2024-02-05 18:34
-
[NNA] 싱가포르 2023년 외국인 입국자 수, 2.2배인 1361만명 사진=게티이미지 싱가포르정부관광국(STB)이 발표한 관광통계에 따르면, 2023년 싱가포르에 입국한 외국인 수는 전년의 2.2배인 1361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의 29배에 비하면 증가율은 둔화됐으나,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정부관광국은 당초 1200만~1400만명의 외국인이 입국할 것으로 전망했다. 신종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의 71% 수준까지 회복됐다. 국가・지역별로는 인도네시아가 230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2위는 중국으로 140만명. 2022년은 12위로 하락했으나,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3위는 말레이시아, 2024-02-05 17:51
-
[NNA] 말레이시아 지난해 공항 이용자 수, 코로나 이전의 80% 수준 회복 말레이시아 공항운영사 말레이시아 에어포츠 홀딩스(MAHB)는 2023년 국내 공항 이용자 수가 전년 대비 55.4% 증가한 8192만명이라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항공운임 상승 및 항공기의 재투입・조달 지연에도 불구하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이전인 2019년의 77.8% 수준까지 회복됐다. 이용자 수 내역은 국제선이 전년의 2.3배인 3861만 3000명, 국내선이 19.7% 증가한 4330만 8000명. 국제선 내역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역내 노선이 2.2배인 2078만 2000명, 역외 노선이 2.6배인 1783만명.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 2024-02-05 17:08
-
[NNA] 캄보디아 12월 기본식량 비용, 전월 대비 3.6% 하락 캄보디아에서 식품가격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다. 세계식량계획(WFP)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12월 기본식량(BFB) 구매비용은 1인당 평균 27.3달러(약 4011엔)를 기록, 전월 대비 3.6% 감소했다. 도시지역은 3.8% 감소한 27.8달러, 농촌지역은 3.9% 감소한 26.6달러. WFP는 2023년 12월 조사보고서 ‘마켓 & 시즌 모니터링 업데이트’를 통해 캄보디아의 물가에 대해 설명했다. 기본식량은 혼합미, 돼지고기, 식물성 기름, 고구마, 오리알, 가물치, 공심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식량의 평균 구 2024-02-05 16:16
-
[NNA] 日 JAL・ANA, 3월 말 이후 印 노선 운항계획 발표 전일본공수(ANA)와 일본항공(JAL)은 3월 31일 이후 인도 노선 운항계획을 발표했다. ANA 그룹은 2024년도 계획을 확정했다. 일본-인도 노선은 기존대로 하네다(羽田)-델리 노선을 하루 1왕복, 나리타(成田)-뭄바이 노선을 주 3왕복 운항으로 각각 유지한다. 뭄바이 노선은 3월 30일까지는 화, 목, 토요일에, 31일부터는 화, 금, 일요일에 운항된다. JAL도 3월 31일부터 10월 26일까지의 계획을 발표했다. 하네다-델리 노선은 하루 1왕복, 나리타-벵갈루루 노선은 주 3왕복으로 각각 운항된다. 벵갈루루 노선은 나리타 출발이 월, 2024-02-05 15:33
-
[NNA] 印尼 인터넷 보급률 79.5%, 이용자 2.2억명 사진=게티이미지 인도네시아 인터넷프로바이더협회(APJII)가 실시한 2024년 인도네시아 인터넷 보급에 관한 조사(2023년 12월 18일~2024년 1월 19일 실시)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인구는 2억 2156만 347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구 대비 인터넷 보급률은 79.5%로, 직전 조사(2023년 1월 10~27일 실시)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보급률을 지역별로 보면, 자바 지역이 가장 높은 83.64%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술라웨시 지역으로 68.4%. 주별로는 욕야카르타특별주가 88.7%로 가장 높으며, 수도 자카르타특별주가 87.5%로 그 뒤 2024-02-05 14:47
-
[NNA] 베트남 빈딘성, 풍력 조사 2건 승인 베트남 중부 빈딘성은 지난달 중순, 싱가포르-태국 합작사인 신재생에너지 기업 넥시프 랫치 에너지와 베트남 업체인 남하이테크에 대해 육상풍력발전을 위환 풍황조사를 허용했다. 베트남외자기업협회(VAFIE)의 온라인 미디어 ‘인베스터’가 지난달 31일 보도했다. 이들 업체는 빈딘성 번까인현에 1년 반 동안 관측설비를 설치할 수 있게 됐다. 개발면적은 넥시프 랫치가 1368헥타르, 남하이테크가 2253헥타르와 2208헥타르 등 2곳이며, 관측설비의 부지면적은 각 100㎡. 빈딘성은 육상・해상 풍력발전을 상공부의 투 2024-02-05 14:18
-
[NNA] 홍콩 12월 소매업 매출액 8% 증가… 작년 연간은 플러스 전환 홍콩정부통계처는 홍콩의 2023년 12월 소매업 매출액(속보치)이 전년 동월 대비 7.8% 증가한 363억 3000만 HK달러(약 6800억 엔)를 기록했다고 1일 발표했다. 증가율은 전년 동기보다 둔화됐으며, 2개월 만에 한 자릿 수 증가에 그쳤다. 다만 13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유지했다. 상품・판매경로별로는 ‘보석품・시계・고액선물’이 50.1%로 가장 크게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전월보다 10.7%포인트 축소됐다. ‘의류・신발・관련제품’(18.3% 증가), ‘기타 소비재’(22.9% 증가)도 전월보다 증가폭이 2024-02-05 13:28